기자별 뉴스보기
-

(리포트)공유지 임대 엉망
◀ANC▶ 지난 4.13 총선과정에서 전직 공무원이 내부 정보를 이용해 공유지를 사들였다는 의혹이 제기돼 논란이 일었는데요. 제주지역 공유지의 임대도 엉망진창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권혁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서귀포시의 한 사설박물관 주차장. 4만 5천여 제곱미터의 넓은 ...
권혁태 2016년 04월 21일 -

(리포트)개발-경제 정책 쟁점
◀ANC▶ 제주도의회 도정질문에서 제2공항과 예래 휴양형 주거단지가 쟁점이 됐습니다. 원희룡 지사는 제 2공항 입지 논란은 주민들과 대화로 풀겠다고 밝혔지만 휴양형 주거단지는 사업 추진이 회의적이라는 전망을 내놓았습니다. 권혁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도정질문 이틀째, 제2공항 정책이 구체적...
권혁태 2016년 04월 21일 -

(리포트)개발-경제 정책 쟁점
◀ANC▶ 제주도의회 도정질문에서 제2공항과 예래 휴양형 주거단지가 쟁점이 됐습니다. 원희룡 지사는 제 2공항 입지 논란은 주민들과 대화로 풀겠다고 밝혔지만 휴양형 주거단지는 사업 추진이 회의적이라는 전망을 내놓았습니다. 권혁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도정질문 이틀째, 제2공항 정책이 구체적인...
권혁태 2016년 04월 20일 -

냉해피해면적 확정
제주지역에서 지난해말부터 잦은 비날씨와 한파로 피해를 입은 농작물은 957농가에 423헥타르로 최종 집계됐습니다. 이에 따라, 제주도는 재해 복구비로 11억 5천만 원을 산정해 농림축산식품부에 제출했습니다. 지역별로는 서귀포시가 277헥타르로 제주시보다 두배 가까이 많았고 작물별로는 월동채소가 284헥타르로 3분...
권혁태 2016년 04월 20일 -

제주영어교육도시 '3천억 원대 경제효과'
한국경제연구원은 제주영어교육도시 파급효과 실증분석과 정책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2천21년까지 7개 국제학교를 설립하고 학생 9천명을 유치한다는 당초 계획이 이행된다면 연간 3천687억 원의 경제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연구원은 외국교육기관 유치를 위해서는 영리법인 설립과 과실송금 허용, 세율 인하...
권혁태 2016년 04월 20일 -

유용미생물 활용 바다숲 조성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바다숲 살리기 사업이 전국에서 처음으로 제주에서 추진됩니다. 제주도는 해조류 번식을 위해 유용미생물인 '라이조푸스균'을 이용해 특수 제작한 해조류 증식용 모판을 바다에 이식합니다. 이번 사업은 갯녹음이 심각한 조천과 함덕, 행원 등 5개 마을 어장에서 실시되며 모판 구조물 천여개가 마을...
권혁태 2016년 04월 20일 -

냉해피해면적 확정
제주지역에서 지난해말부터 잦은 비날씨와 한파로 피해를 입은 농작물은 957농가에 423헥타르로 최종 집계됐습니다. 이에 따라, 제주도는 재해 복구비로 11억 5천만 원을 산정해 농림축산식품부에 제출했습니다. 지역별로는 서귀포시가 277헥타르로 제주시보다 두배 가까이 많았고 작물별로는 월동채소가 284헥타르로 3분...
권혁태 2016년 04월 19일 -

제주영어교육도시 '3천억 원대 경제효과'
한국경제연구원은 제주영어교육도시 파급효과 실증분석과 정책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2천21년까지 7개 국제학교를 설립하고 학생 9천명을 유치한다는 당초 계획이 이행된다면 연간 3천687억 원의 경제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연구원은 외국교육기관 유치를 위해서는 영리법인 설립과 과실송금 허용, 세율 인하...
권혁태 2016년 04월 19일 -

한라산 정상부에 눈
봄 날씨 속에 한라산 정상에 기온이 급강하하면서 때아닌 눈이 관측됐습니다. 한라산 국립공원관리사무소에 따르면 어젯 밤과 오늘 새벽 사이 기온이 떨어진 가운데 비가 눈으로 바뀌면서 백록담과 윗세오름 등 정상 부근에 눈이 쌓였습니다. 한라산 정상 부근의 오늘 아침 최저기온은 백록담이 영하 2.4도 윗세오름이 영...
권혁태 2016년 04월 18일 -

해안 미등록 토지 조사 실시
해안지역 미등록 토지에 대한 조사가 실시됩니다. 제주도는 올해 3억 원을 들여 측량 조사를 실시해 자연매립이나 해안도로 개설, 소규모 어항 조성 등으로 지적공부에 등록되지 않은 땅을 찾아 새로 등록하기로 했습니다. 현재 미등록 토지는 500여 필지로 추산되며, 지적도와 위성사진 등을 이용해 불법 매립지 조성 여...
권혁태 2016년 04월 1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