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데스크

1947년 제주④ 4·3의 진실 '1947년'

◀ANC▶

4.3 무장 봉기 1년 전
제주 상황을 짚어보는 '1947년 제주'
오늘은 마지막 순서로
증폭되는 1947년 갈등의 전개 과정을
살펴봅니다.

3.1발포사건 이후
미군정은
제주 상황을 이념대립으로 몰아가고,
다른지역 출신 군인과 경찰들을
대거 투입하는데요.

폭행과 총기 난사에 이어
고문치사 사건까지 잇따르면서
도민들의 분노가 폭발했습니다.

김찬년 기자입니다.

◀END▶
◀VCR▶

그동안 공개되지 않았던
판결문을 통해 드러난 1947년 제주의 진실.

해방의 기쁨과 통일정부 수립에 대한
도민들의 열망은
3.1발포사건으로 산산히 부서졌습니다.

민간인 6명이 숨진 3.1사건에 대해
경찰이 정당방위를 주장하며
주민과 군경간 갈등은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CG)
"3월 10일
3.1사건에 항의하는 민관 총파업이 시작되자
경찰은 닷새 만에
다른지역 출신 응원경찰 200여 명을
제주에 투입해 대대적인 검거에 나섰습니다.

4월에는
파업 참가자 260명이 군사재판에 회부됐고,
8월에는
동광리에서 하곡수매 반대운동 충돌이,
조천읍에서 경찰의 총기 난사로
마을 주민 3명이 총상을 입었습니다."

◀INT▶장윤수/북촌 총기난사 피해자
"밭에 갔다가 오는 길에 막 총을 쐈어. 그 사람(경찰) 오더니 막 총을 쐈어. 총 맞은 다음에는 비나 바람이 불면 죽을 것 같이 아파."

(CG)
"9월부터는 서북청년단이
마을 유지들을 상대로
테러를 일으키기 시작합니다.

11월과 12월에는
미군정 정보당국 마저
극에 달한 테러 행위에 대해
서북청년단에 경고를 보내고,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유혈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는
보고까지 올릴 정도로
제주의 갈등사태는 극단으로 치닫게 됩니다."

결국 이듬해 초
3건의 고문치사 사건이 발생하자
남로당 제주도당은 신촌회의에서
무장투쟁 방침을 결정했습니다.

◀INT▶박찬식/전 제주4.3연구소장
"이와 같은 탄압이 1년여간 전개되는 과정에서 1948년으로 접어드는데 대정지역에서 양은하와 같은 청년 학생들이 고문을 받다가 죽어나가는 사건이 터집니다. 이 과정에서 결국은 무장봉기 결정이 이뤄지고..."

4월 3일 무장봉기 탓에
제주도 반란과 폭동 등
이념 논쟁이 끊이질 않았던 제주4.3사건.

70여 년 세월이 지난 지금이라도
역사의 올바른 인식과 이해를 위해
1947년 제주, 당시 상황을 명확히 조명하고
4.3의 정명을 찾기 위한 작업이 필요합니다.

MBC뉴스 김찬년입니다.
김찬년

최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