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혁태 기자
입력 2015-07-14 00:00:00수정 2015-07-14 00:00:00조회수 0
◀ANC▶ 제주도와 도내 시민사회단체가 첫 정책간담회를 가졌습니다. 중요한 지역현안들을 정례적으로 논의하기로 했는데 첫 만남부터 뚜렷한 입장 차이를 보였습니다. 권혁태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END▶ ◀VCR▶ 사상 처음으로 공식적으로 마주한 제주도와 시민사회단체 대표들. 가장 큰 쟁점은 휴양형 주거단지가 불법이라는 대법원 판결에 대한 문제였습니다. 시민단체는 특별법에 특례조항을 둬 공사를 계속 추진하겠다는 방침은 사태를 무마하려는 근시안적 태도라고 비판했습니다. ◀INT▶(이영웅 사무국장) "다수의 유원지 개발사업이 잘못가는 것을 개선하는 기회로 삼아야합니다." 원희룡 지사는 이미 공사가 진행된 이상 손실을 최소화 할 수 밖에 없다면서도 개발 사업에 대한 재조정과 기준을 만들겠다고 밝혔습니다. ◀INT▶(원희룡) "공공의 이용과 투자로부터 보호의 틀을 만들고 공공의 참여와 주민의 이해가 우선되는 기준을 올해안으로 만들겠습니다." 예산혁신기구가 늦어지고 있다는 지적에 제주도는 이달 안에 출범시키겠다고 밝혔습니다. 감사위원회를 독립시키라는 요구에는 인사와 예산에 위원장의 의견을 반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헬스케어 타운에 추진되는 영리병원 문제에 대해선 서로 물러서지 않았습니다. ◀INT▶(홍영철 대표) "녹지국제병원 영리병원입니다. 들어서면 국내 1호 영리병원이되는거고 지사가 1호 승인한 지사가 되는 불행한 일이 있어서는 안됩니다." ◀INT▶(원희룡) "이미 특별법에 요건에 맞으면 해줄수 있게 되어있다. 반대여론이 있으니 절차를 진행시킬수 없다는 것은 행정이 할수 있는 절차가 아닙니다." 특히, 제주 신항 개발 논란과 관련해 시민단체는 매립지에 상업시설이 들어설 수 밖에 없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지만 제주도는 미래를 위해 꼭 필요한 사업이라며 뚜렷한 입장 차이를 보였습니다. mbc news 권혁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