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지난 겨울 32년 만의 폭설로
농작물이 얼어버리는 바람에
농민들의 피해가 컸는데요.
보상대책은 현실과 동떨어져
농민들이 반발하고 있습니다.
이소현 기자입니다.
◀VCR▶
◀END▶
수확이 한창이어야 할 무 밭.
한파와 폭설로 얼어버린 무는
새카맣게 변해
성한 것이 없습니다.
재해대책법에 따라
피해농가에 지원되는 대파비는
3.3제곱미터에 500원.
농지 임대료의 4분의 1 수준이고
밭을 갈아엎을 인건비도
충당하기 어렵습니다.
"(S.U) 최악의 농작물 냉해피해가 발생했지만
보상 대책은 현실과 너무 동떨어지면서
농민들은 막막하기만 합니다."
◀INT▶ 양광훈 월동무 재배 농민
"농업 재해보상법이나 농협에서 3.3제곱미터당 700원 정도 보상한다는데 턱없이 부족하고 단가가 전혀 맞지 않습니다."
◀SYN▶ 결의대회
"제주 농민 다 죽는다. 제주 농업 살려내라"
성난 농민들이 아스팔트 바닥에
썩어버린 무를 내팽겨치며
항의하고 나섰습니다.
월동무를 시장에서 격리하는 차원에서
3.3 제곱미터에 2천100원을 지원해
산지에서 폐기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SYN▶ 강봉수
월동무 생산자연합회 서부지구회장
"2,100원은 최저 비용입니다. 농사를 지을 때
3.3제곱미터당 5,000원 정도가 듭니다. 비료,
자재 비용 등 포함해서 2,100원 정도가 드는데 (제주도가 절충할 생각을 안 하니까 답답한 겁니다.)"
농민들은
냉해로 2차와 3차 피해가 예상되는
감귤 농가에도
장기 대책을 마련하는 등
현실에 맞는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습니다.
MBC뉴스 이소현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부
연락처 064-740-2543
2020-04-26 09:18
방송시 농업용어의 정확한 선택이 필요합니다.
여기서는 냉해가 아니라 동해나 한해로 써야합니다
.冷害 [냉ː해]
명사 여름철의 이상 저온이나 일조량 부족으로 농작물이 자라는 도중에 입는 피해.
표준국어대사전
凍害 [동ː해]
명사 농작물 따위가 추위로 입는 피해. ‘언 피해’로 순화.
표준국어대사전
寒害
명사 추위로 입는 피해. 주로 농작물이 입는 피해를 이른다.
표준국어대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