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정부가 공개한
국정 역사 교과서에
제주 4.3 사건에 대한 내용이
고작 3문장 기술됐습니다.
정부는 사실에 입각한
균형잡힌 교과서라고 강조했지만
이석문 제주도 교육감과
4·3 단체들은
4·3을 축소 왜곡했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보도에 홍수현 기자입니다.
◀END▶
◀VCR▶
인터넷을 통해 공개된
국정 역사 교과서입니다.
(C/G)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는
'1947년 3.1절 기념대회에서
경찰의 발포로 사상자가 발생했고
1948년 4월 3일
남로당 제주도당의 무장봉기가 일어나
군경과 무장대간의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많은 무고한 제주도민이
희생됐다고 기술됐습니다.
(C/G)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는
'제주 4.3 사건이 발생한 제주도 일부 지역에서
선거가 무산됐다고 본문에 기술한 뒤
주석으로
고등학교 교과서와 비슷한 내용을
설명했습니다.
◀SYN▶
"학생들이 특정 이념에 치우치지 않고
균형 있는 역사관과 올바른 국가관을
가질 수 있도록.."
이에 대해, 이석문 제주도 교육감은
4.3이 지나치게 축소돼
우려스럽다며 비판했습니다.
발발원인에 대한 설명이 부족한데다
남로당의 무장봉기만 강조했고
제주도민들의 절박한 상황은
표현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INT▶
"전국의 학생들이 4·3에 대해 이해하기에는
극히 제한적이고 문제가 있을 수 있겠다,
전문가, 학교 현장에서 가르치는 역사 교사들과
논의하면서 (대응하겠다.)"
4.3 유족회도
국정 교과서가
국가 공권력의 책임을
인정하지 않았다며
반대한다고 밝혔습니다
◀INT▶
"이것만 보고는 4·3이 어떻게 발발했고
이후에는 문제를 어떻게 풀었고 현실이 어떻게
됐는지 전혀 모르잖아요. 말도 안 된다."
제주지역 국회의원들도
공동성명을 내고
4.3 사건을 축소 왜곡했다며
국정교과서를 폐지하라고 요구했습니다.
국정 교과서를 둘러싼
반대 여론이 거세게 일면서
내년 새학기부터 적용될지는
지켜봐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mbc news 홍수현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부
연락처 064-740-2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