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신년기획, 세번째 순서입니다.
제2공항 건설 반대운동이
제2의 강정마을 사태로 번지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는데요.
국책사업이 추진 되는 곳마다
심각한 갈등이 벌어지고 있는데
이를 해소할 수 있는
사회적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김찬년 기자의 보돕니다.
◀END▶
◀VCR▶
제 2공항 건설에 반대하는 유인물을
관광객들에게 나눠주고 있는 김경배씨.
김씨는 공항 건설이 발표된 뒤
생계수단인 굴삭기까지 팔고 1년 넘게
반대운동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활주로에 집이 편입돼 고향을
떠나게 됐는데도
국책사업이라며 무조건 강행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게 김씨의 이야기입니다.
◀INT▶김경배/서귀포시 성산읍
"주민 수용성도 평가한다는 내용이 있는데 그것도 고려되지 않고, 발표가 나자마자 제주도에서 민간 협의체 구성이니, 지역개발 운운하면서 우리들 반발을 무마시키려고 하고 있습니다. 받아들일 수가 없습니다."
해군기지 반대 운동이
10년째 이어지고 있는
서귀포시 강정마을.
이 곳에서도
국책사업이라는 이유로
주민과의 소통은 실종됐습니다.
(S/U)
"해군은 지역주민과의 상생을 약속했지만
해군기지가 준공되자마자 공사 지연에 대한
배상금을 내라며 주민들에게 요구했고
갈등의 골은 더욱 깊어졌습니다."
◀INT▶조경철/강정마을회장
"강압적으로 힘으로 밀어붙이고 우리 주민들은 '당신들 우리한테 최소한의 양해라도 구했나?' 우리는 우리의 삶을 지켜야 하기 때문에 반대한 건데..."
전문가들은
이같은 사회적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이해 당사자들이 모두 수긍할 수 있는
독립적인 갈등조정기구가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INT▶서영표/제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정부와 제주도가) 자신들이 하고자 하는 것에 대해서 타당성이 있어야 되는 거잖아요. 경제적 타당성이 아니라 사회적 타당성이 있어야 되고요. 사람들한테 설득할 수 있어야 되는 거예요."
특히, 지역의 정당과 정치인들이
갈등현안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밝히고
정책 경쟁을 통해 해법을 제시하는
풀뿌리 민주주의의 실현도 중요한 과제입니다.
MBC뉴스 김찬년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부장
연락처 064-740-2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