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김영란법'이 시행된 뒤
첫번째 명절을 앞두고
유통업계의 풍속도가 달라지고 있습니다.
가격을 낮춘 실속형 선물세트가
많이 나왔지만
매출이 줄어 고민이라고 합니다.
이소현 기자입니다.
◀END▶
◀VCR▶
대형마트의 설 선물 세트 진열대.
상품 가격을 살펴보니
대부분 5만원 미만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김영란 법의 선물 상한선에 맞춘
4만 9천 800원 짜리
실속 세트도 눈에 띕니다.
◀INT▶ 장소미 / 마트 고객
"실용적인 거 과일 종류를 잘 선물하는 편이거든요. 배나 사과 정도. 가격대가 보통 5만 원 전후를 하고 있는데 조금 더 저렴한 것도 있는 것 같고."
제주 특산물 판매업체들도
선물세트 가격을
대부분 5만원 미만으로 낮췄습니다.
택배비까지 포함하면
5만 원을 넘을 수 있어
3만 원이 넘는 상품은 무료 배송하고 있습니다.
"(S.U) 선물 가격대를 낮춰
시장 공략을 하고 있지만
김영란법 이후 경기침체까지 겹치면서
소비 심리가 위축되고 있습니다."
◀INT▶ 문준호
제주도 경제통상진흥원 판로지원부
"공무원 대상으로 하는 구매는 거의 없고요. 지금은 거의 다 민간 기업들이 구매하는 패턴으로 나가고 있습니다."
재래시장 수산물 코너는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대표 상품인 옥돔과 갈치 가격이 올라
선물 가격도
5만 원을 맞추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저렴한 생선들과 섞은
선물 세트를 내놓고 있지만
매출이 눈에 띄게 줄었습니다.
◀INT▶ 현창훈 제주동문수산시장 상인회장
"갈치는 고급 어종잖아요. 옥돔도 고급 어종이고. 고등어는 서민 부분으로 생각하다 보니 격을 하나 낮추는 부분에 대해서 꺼리는 부분이 있지 않느냐 (생각이 듭니다.)"
특히, 상대적으로 값싼 수입품에
국내산 농수축산물이 밀려나면서
명절 대목을 앞둔 농어민들의
근심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mbc뉴스 이소현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부
연락처 064-740-25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