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오늘(어제) 공개된
국정 역사교과서 최종본에
제주 4.3 사건과 관련된 서술이
일부 보완됐습니다.
하지만 4.3 유족들은
교과서 내용이 여전히 부실하다며 반발했고
제주도 교육청도 반대 입장을 밝혔습니다.
보도에 홍수현 기자입니다.
◀END▶
◀VCR▶
고등학교 한국사 국정교과서
최종본입니다.
제주4.3사건을 설명하는 주석란에
CG)오류가 있었던 '제주 4·3 사건 진상 규명
및 희생자 명예 회복에 관한 특별법' 명칭이
수정됐습니다.
CG) 또 무고한 희생자와 유족의 피해,
그리고 특별법 시행 이후 조성된
4.3평화공원에 안치된 희생자 위패에 대한
내용이 추가됐습니다.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도
CG)본문 외 주석에 고등학교 교과서와
비슷한 내용을 설명했습니다.
검정교과서 집필기준에도
4.3 진상 규명 노력이 포함됐고
탐라국을 일본과 같은 색깔로 표시했던
고려시대 지도는 수정됐습니다.
◀SYN▶교육부
"이번에 발표한 국정 역사교과서 최종본과 검정 역사교과서 집필 기준을 통해 역사교육이 일보 전진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하지만, 4.3 유족회와
제주지역 국회의원들은 실망스럽다며
반발했습니다.
4.3의 배경과 원인에 대한 설명이 없는데다
공산세력의 무장폭동이라는 시각이 여전하고
최대 3만명으로 추산되는 희생자도
만 4천명으로 축소했다는 것입니다.
◀INT▶유족회장
"(장관을 항의방문했을때) 이거 있을 수 있냐.
4·3의 절대적 책임자인 이승만 대통령의 사진을 여기에 넣을 이유가 뭐냐 잘못되지 않았냐해서 잘못되었다고 시인한 바가 있어요. 전혀 개의치 않고 있다."
제주도 교육청도
국정 교과서를 반대하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INT▶교육청
"현재 국회에서 추진중인 국정교과서 금지법을 조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할 뿐만 아니라 학교 현장의 논란을 최소화하고 국정교과서 폐지를 위해 적극 노력할 계획입니다."
교육부는 새학기부터
희망하는 학교를 연구학교로 지정해
국정교과서를 보급한다는 계획이지만
교육청은 거부하겠다는 입장이어서
갈등은 계속될 전망입니다.
mbc news 홍수현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부
연락처 064-740-2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