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경찰관이나 단속 카메라가 없는 곳에서
슬그머니 교통법규를 위반하는 경우가
적지 않은데요.
이런 얌체운전자들을
시민들이 직접 신고하는
공익신고가 크게 늘고 있습니다.
김찬년 기자입니다.
◀END▶
◀VCR▶
방향 지시등을 켜지 않고
요리조리 차선을 바꾸는 차량.
또다른 차량은
보행자 신호가 켜졌는데도
횡단보도를 그냥 지나갑니다.
아예 2차선 한 가운데를
운행하는 택시도 있습니다.
모두 뒷따르던 차량 블랙박스에 찍혀 신고된
교통법규 위반 차량들입니다.
◀SYN▶김00/공익 신고자
"(위반 차량 운전자) 자신은 편할지 모르겠지만 타인에게 사고나 위험을 많이 가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런 부분을 바로 잡기 위해서 신고를 시작하게 됐습니다."
(CG)
지난해 제주 경찰이 접수한
교통법규 위반 공익 신고는
만 6천여 건으로
5년 만에 무려 100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전국 평균보다도 10배나 높은
증가율입니다.
◀INT▶오임관/제주지방경찰청 교통안전계장
"최근에 인구나 관광객 증가와 함께 자동차도 많이 증가를 했고요. 또 스마트폰이나 블랙박스가 많이 일반화되다 보니까..."
지난 2천 2년부터 도입된 공익신고는
초기에는 포상금이 지급됐지만
파파라치 논란 때문에 포상금은 폐지됐습니다.
(S/U) "공익 신고가 교통사고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거란 기대가 있지만,
지나친 신고는
사회에 불신과 감시 문화를 조장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MBC뉴스 김찬년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부장
연락처 064-740-2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