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MBC

검색

(리포트) 재선충 파쇄 주먹구구

김찬년 기자 입력 2017-04-12 08:10:09 수정 2017-04-12 08:10:09 조회수 0

◀ANC▶

재선충병으로 말라죽은 소나무는
잘게 부순 뒤
나무가 있던 자리에 버리거나
태워야 하는데요.

자칫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가
살아남아 번식할 수 있기 때문인데,
파쇄목을 남의 땅에 버리는 등
뒷처리가 주먹구구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김찬년 기자입니다.

◀END▶
◀VCR▶

제주시 애월읍 중산간에 있는
한 목장 용지.

마치 거름을 깔아 놓은 것처럼
부서진 나무조각들이
목장 전체를 뒤덮었습니다.

최근 콩을 심기 위해 이곳을 찾았던 땅주인은
산더미처럼 쌓인 파쇄목에 깜짝 놀랐습니다.

◀INT▶김용철/땅주인
"허가 없이 (들어오고), 대문을 달았으면 최소한 동의는 구할 수 있는 부분인데 대문 옆으로 길을 내서 들어와서 이렇게 현장에서 파쇄를 해버리고..."

목장에 쌓인 나무 파편들은
재선충에 감염된 소나무들.

버려진 파쇄목은 50여톤
소나무 천 500여 그루 분량입니다.

이 일대 재선충병 방제를 맡은 업체가
땅 주인의 허락도 받지 않고
이 곳에서 파쇄작업을 한 뒤 버린 겁니다.

◀SYN▶재선충 방제 업체 관계자
"허락은 안 받고 저희가 파쇄를 한 거죠. 기존에 파쇄물이 있어서 땅주인이 나중에 거름으로 쓸까 해서..."

고사목 처리도 엉터리입니다.

산림청 규정상
1.5cm 미만 크기로 파쇄를 해야 하는데
한 눈에 보기에도 20cm 넘는 나무들이
현장에 수두룩합니다.

파쇄목이 1.5센티미터를 넘으면
재선충을 옮기는
솔수염하늘소가 서식할 수 있어
파쇄 효과가 사라지기 때문입니다.

제주도는 뒤늦게
해당 업체가
무단으로 남의 땅에
버린 파쇄목을
모두 수거한 뒤 소각하라고
지시했습니다.

MBC뉴스 김찬년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김찬년
김찬년 mbcjeju@gmail.com

취재부장
연락처 064-740-2521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