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해양조사업체들의
부정입찰 의혹과 관련해
업체에 용역을 맡겼던
수산자원 관리공단의 관리 감독이
허술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경찰은
공단 측의 묵인 여부에 대해서도
수사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김찬년 기자입니다.
◀END▶
◀VCR▶
해양수산부 산하 준정부기관인
수산자원관리공단 제주지사.
바다목장 조성사업과
캠페인 등을 위해
연간 100억 원 안팎의
국고보조금을 쓰고 있습니다.
예산의 90% 이상은
민간업체에 용역을 맡겨 사용하고
공단측이 관리 감독하는 시스템입니다.
◀SYN▶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관계자
"잠수 어업에서 하던 것을 엔지니어링 등록된 업체들이 주로 사업을 하는 거거든요. 주로 바다숲하고 연안 바다 목장 사업을 하고 있어요."
문제는 용역업체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검증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경찰은 일부 해양조사업체가 만든
유령회사들이
최근 3년 동안 공단측이 발주한 용역을
수십여차례나 낙찰받은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입찰에 참여하려면
사전에 적격심사를 받아야 하지만
단 한 곳도 적발되지 않았습니다.
◀SYN▶해양조사 업체 관계자
"거기(용역 입찰)에 자기네 자격이 되는 사람들이 입찰해서 그걸 따내기만 하면 용역을 하는 거거든요."
이런 가운데, 경찰은
공단측의 묵인 여부에 대해서도
수사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국내에 해양조사 전문가가 그리 많지 않고
학연과 인맥으로 서로 연결돼있어
유령회사를 만들면
쉽게 탄로날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S/U)
경찰이 업체 대표 자택까지 압수수색해
수첩과 통장,
휴대전화까지 모두 확보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경찰의 수사가 단순히 입찰 비리 뿐만 아니라
유착관계로 향하고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MBC뉴스 김찬년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부장
연락처 064-740-2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