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지난달 이후 제주지역 강수량이
평년의 40%를 밑돌 정도로
비가 적게 내려
농작물 피해가 나타나고 있는데요.
제주에 오랜 만에 단비가 내렸지만
완전히 가뭄을 해갈시키기엔 턱없이 부족해
농민들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이소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END▶
◀VCR▶
가뭄으로 쉴새없이 움직였던 스프링쿨러가
멈춰섰습니다.
기다리던 비가 열흘 만에 내렸기 때문.
땡볕에 잎이 누렇게 변했던 쪽파도
오랜만에 목을 축였습니다.
하지만, 바닥을 걷어보자
먼지가 뿌옇게 날리면서
황토색으로 마른 흙이 나옵니다.
◀INT▶ 장봉길 애월읍 하가리 이장
"거의 먼지만 가라앉을 정도. 최소한 가뭄이 해갈되려면 오늘 온 비에 5배 정도는 와 줘야. 50mm 와 줘야 땅 속에 물이 들어서."
"(s.u) 오랜만에 단비가 내렸지만
지역별로 강수량의 편차가 커
완전한 가뭄 해갈에는 역부족인 상황입니다."
한라산에는 70밀리미터가 넘는
많은 비가 왔지만
제주시의 강수량은 10mm도 안 돼
서귀포의 3분의 1 수준에 그쳤습니다.
특히, 이달 들어
동부 지역의 강수량은 평년의 절반도 안 돼
콩과 당근의 파종 시기를 놓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제주도는
농작물 가뭄 극복을 위한
비상 체제에 돌입했습니다.
◀INT▶ 전병화 / 제주도 친환경농정과장
"6월 25일까지 1단계 가뭄 대책 추진 상황을 하고 있습니다. 농가가 원하면 물빽과 급수탑을
지원할 수 있도록 체제를 갖춰 상황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기상청은
이번 주말에 제주에는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비가 내리겠다고 예보해
이번에는 가뭄이 완전히 해갈될지
농민들은 애를 태우고 있습니다.
mbc뉴스 이소현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부
연락처 064-740-25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