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해안지역에는 이렇게
국지성 호우가 쏟아지면서
가뭄 해갈을 넘어 피해까지
발생하고 있는데요.
한라산에는 올 여름
큰 비가 오지 않아
보름째 이어지고 있는
중산간 지역의 제한 급수는
좀처럼 풀리지 않고 있습니다.
이소현 기자입니다.
◀END▶
◀VCR▶
한라산 어승생 수원지로
빗물이 흘러드는 와이계곡입니다.
밤 사이 70밀리미터가 넘는 비가 내렸지만
겨우 발목 높이까지 물이 찼을 뿐입니다.
(사진) 지난해 이맘때
어른 허리 높이까지 물이 찼던 것과 비교하면
눈에 띄게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올 들어 한라산 윗세오름에 내린 비는
천 558mm.
지난해의 40% 수준에 그치고 있습니다.
◀INT▶ 고정민
제주도 상하수도본부 어승생 수원지 담당
"2, 30mm 온 것 같고는 흐르지 못하고 밑으로 스며드는 양이 더 많아서. 전년도 하루 7, 8천 톤 취수했는데 올해 2,3월부터 급격히 줄어서 하루 4천 톤 취수하고 있어요."
"(S.U) 10만 톤의 물을 보관할 수 있는
어승생 제1수원지입니다.
예년 같으면 수위가 4미터 높이까지
올라왔지만
지금은 바닥이 훤히 드려다보입니다."
물을 빨아들이는 취수구까지
수면 위로 드러나면서
수원지는 열흘 전 가동을 멈췄습니다.
하루에 200밀리미터 이상 폭우가
쏟아지지 않으면
제한급수가 계속될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특히, 중산간 난개발로
물 부족 현상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INT(전화/사진)▶ 김동주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연구기획위원
"펜션이나 타운하우스 개발로 수요량이 늘어났고 비가 안 오더라도 계속 수요량이 늘면 수자원 수요 예측에 맞는 개발 허가를 고려해야 한다."
특히, 2년 전
어승생 수원지에서 물이 새
보수공사까지 벌였던 만큼
급수시설에 전반적으로 문제는 없는지
점검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MBC뉴스 이소현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부
연락처 064-740-25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