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MBC

검색

(리포트) '화산도' 김석범...4·3은 민중항쟁 (김항섭/양윤택)

김항섭 기자 입력 2018-04-04 21:20:07 수정 2018-04-04 21:20:07 조회수 0

◀ANC▶

조선적 국적을 유지하며
영원한 경계인으로 살아온 김석범 작가가
특별한 강연회를 가졌습니다.

김 작가는
숫자로 나열된 4.3의 올바른 이름은
민중항쟁으로 자리매김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김항섭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4.3이 발발하기 1년 전인
1947년 3월 1일,
도민 3만명이 모여 3.1절 기념 행사가
열렸던 제주시 북초등학교.

집회가 끝난 뒤 발생한
관덕정 앞 발포 사건은
4.3의 도화선이 됐습니다.

4.3 70주년을 맞아
이곳에서 학생과 도민을 위한
특별한 강연이 마련됐습니다.

강연자는 일제시대 일본에서 태어나
조선적 국적을 유지하며,
제주 4.3을 일본 사회에 널리 알린
대하소설 '화산도'를 쓴 김석범 작가.

김 작가는
4.3이 올바른 이름을 가져야
할 때라고 강조했습니다.

◀SYN▶ 김석범 / 작가
"정명을 하라, 이름을 세우는 거야, 이름도 없는데 4·3이라는 것은 숫자에 불과하잖아.
4·3민중항쟁(으로 이름을 정해야 한다)."

4.3의 완전한 해결에 이르기까지는
갈 길이 아직도 멀다고 말합니다.

◀SYN▶
김석범 / 작가
"경제적인 보상 문제, 이건 해결해야 합니다. 여러가지 있어요. 트라우마라던가 이런 것을 해결하는 것이 4·3해결..."

경계인으로 살아온 원로 작가의 강연은
학생들에게
4.3의 진실과 미래를 생각해보는
소중한 시간이 됐습니다.

◀INT▶
이석민 / 대정고등학교 2학년
"(김석범) 선생님의 '까마귀의 죽음', '화산
도'를 통해서 제주 4·3의 인식의 확산, 대한민국, 나아가서 세계적으로 알릴 수 있는 발판을 만들었으면 좋겠습니다."

4.3 70주년을 맞아
김석범 작가와 제주도민들이
4.3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함께 이야기하는 뜻깊은 자리였습니다.

MBC뉴스 김항섭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김항섭
김항섭 khsb11@jejumbc.com

취재부
연락처 064-740-2544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