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제주헬스케어타운에 개원을 준비하고 있는
녹지국제병원에 대한 숙의형 공론조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
오늘(어제) 처음 열린
제주시지역 도민토론회에서는
녹지병원 개원을 놓고
찬반 의견이 팽팽히 맞섰습니다.
홍수현 기자입니다.
◀END▶
◀VCR▶
녹지국제병원의
개원 허가 여부를 놓고
숙의형 공론조사위원회가 마련한 첫 토론회.
먼저 녹지병원을 둘러싼
사업 우회 진출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국내 모 의료재단이
의료사업 경험 없이
제주에 진출한 녹지그룹에
경영 컨설팅을 했다며
명백한 법률 위반이라는 겁니다.
◀SYN▶반대측
"(국내의료재단이)녹지국제병원 때문에 정말
컨설팅까지 했다면 사업취소까지 될 수 있는
상황입니다."
또 영리병원 허가는
국내 건강보험 체계를 무너뜨릴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SYN▶반대측
"돈 많으면 찬성하시죠, 영리병원에.
돈 없는 서민들은 건강보험 지켜야되는 것
아니겠습니까."
반대 목소리도 높았습니다.
국민과 환자의 의료 선택권 확대에
영리병원이 긍정적 역할을 할 것이라며
영리병원 허가는
공공의료의 질을 끌어올리는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SYN▶찬성측
"더 경쟁해서 발전할 수 있는 모멘텀을 만들어
주고 거기에 더해서 지금 이용할 수 없는 것들은 선택할수 있는(체계를 만들어야 합니다.)"
이미 시설조성을 마무리하고
인력까지 채용한 업체를 불허하면,
막대한 손해배상 소송으로 이어지고
결국 부담은
도민들이 떠안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SYN▶찬성측
"허가기관 제주도가 정당한 이유없이 법과 조례가 정하지 않은 절차를 일부러 더 밟는 것은 재량의 남용이거나 일탈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도민들도 의견은 엇갈렸습니다.
◀SYN▶도민
"건강보험공단 등에 견제와 감시를 받기
때문에 (공공의료가)가능한 겁니다.
영리병원은 절대 그런 병원이 될 수 없습니다."
◀SYN▶도민
"꿈과 이상을 실현시키려 (많은 청년들이)
녹지병원에 취직했는데 불허되면 당신네들이
책임질 겁니까."
시작부터 찬반이 첨예하게 엇갈린 가운데,
다음달, 도민 3천 명을 대상으로
숙의형 공론화 과정에 앞서
내일(오늘)은 서귀포지역 토론회가
서귀포시 청소년수련관에서 개최됩니다.
mbc news 홍수현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부
연락처 064-740-2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