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제주자치도가 비상품 감귤 유통을 막기 위해 공무원 책임제 도입 등 강력한 단속을 예고했습니다. 그러나 경쟁과일 풍작과 경기 침체로 올해산 감귤 판매가 순조롭지 만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권혁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올해산 노지감귤은 벌써부터 비상품 감귤의 대량 유통 조짐이 보이고 있습니다. 10kg들이 상자로 2천 상자 분량의 설익은 감귤이 출하직전에 적발되기도 했습니다. 이같은 비상품 감귤의 유통을 막고 효율적인 감귤 열매 솎기를 위한 특별 대책회의가 열렸습니다. 먼저, 단속 주체인 제주자치도는 선과장 별 책임 공무원제를 도입하고 비상품 감귤이 유통되면 해당 읍면동장에서 행정시장까지 문책하기로 했습니다. ◀INT▶(김지사) "비상품 감귤이 출하되면 끝까지 추적해서 발본색원하여 선량한 농민과 소비자를 보호해 나가겠다." 생산자 단체의 1번과를 상품에 포함해달라는 요구는 정책의 일관성 유지를 위해 받아들이지 않기로 했습니다. 대신, 지난해와 달리 1번과를 가공용 감귤로 수매하기로 했습니다. 문제는 올해 감귤 생산량이 지난해보다 줄어들 것으로 관측되면서 생긴 막연한 기대심리입니다. 방심하기엔 올해 과일 시장을 둘러싼 환경이 그리 만만치 않기 때문입니다. ◀INT▶(감귤협의회장) "경기침체로 시장이 위축될게 뻔하고, 경쟁과일인 사과와 배, 포도는 풍작이기 때문에 가격 형성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본다." 특히, 멜라민 파동으로 인해 식품 안전에 대한 우려가 높은 상황에서 강제 착색감귤이 유통되면 돌이킬 수 없는 상황이 될 수 도 있습니다. (s/u) 사실상 첫 출하되는 감귤이 올해산 감귤 전체의 인상을 결정짓는 만큼 고품질 감귤 생산을 위한 농가의 참여가 그 어느때보다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입니다. mbc news 권혁태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부
연락처 064-740-2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