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중국 자본이 추진하는
제주 이호유원지 조성사업이 10년 만에
도시계획 심의를 통과했습니다.
하지만 숙박시설이 2배 늘어난데다
해안경관을 사유화한다는 여론이 높아
환경영향평가 문턱을 넘을 수 있을 지
주목됩니다.
홍수현 기자입니다.
◀END▶
◀VCR▶
제주시 이호동에 추진중인
제주이호유원지 조성사업이
도시계획심의를 통과했습니다.
제주도 도시계획위원회는
이호유원지 도시관리계획 변경안에 대해
내부도로와 주차장의
기부채납 계획을 명확히 하고,
상하수도 용량에 해수욕장 이용객을 포함해
재산정하라는 조건을 달아 수용 결정했습니다.
◀INT▶하창현 제주도 도시계획상임기획팀장
(전화)
"만족하는 이행계획을 명확하게 제출해야
하니까 그 부분을 저희는 건건이 체크하는
과정을 거치게 될 겁니다."
사업대상면적은
논란이 된 국공유지 4만 여 제곱미터가 제외된
23만 제곱미터.
기존의 워터파크와 아쿠아리움은
컨벤션센터와 마리나, 숙박시설로
변경됐습니다.
이 가운데 숙박시설은
천실 규모의 2동 짜리 호텔과
250실 콘도로 계획돼
객실 규모는 당초보다 갑절 증가했습니다.
건물 연면적에 비해
상하수도 사용량이 부족하게 산정됐다는
지난 심의 지적에
사업자인 제주분마이호랜드는
관련법에 따라 오수발생량 기준을 적용하고,
상하수도본부와 협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중국 정부의 해외 투자 제한 조치에 따른
자금조달 차질 우려도 일축했습니다.
◀INT▶김종록 분마이호랜드사장
"중국 상무부로부터 정식 허가가 났기 때문에
자본이 한국으로, 제주도로 들어오는 것은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이호유원지 사업은
부지면적이 50만 제곱미터 미만으로
별도의 자본검증 절차 없이
환경영향평가 심의와 도의회 동의만 거치면
착공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숙박시설 위주의
부동산 개발사업으로 변질됐다는 비판과
해외자본에 의한 해안경관 사유화 논란에
환경영향평가 심의 문턱을 넘을 수 있을 지
지켜볼 일입니다.
mbc news 홍수현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부
연락처 064-740-2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