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MBC

검색

(로컬-리포트) 제주바다 쓰레기로 가득

김항섭 기자 입력 2019-04-15 21:00:01 수정 2019-04-15 21:00:01 조회수 0

◀ANC▶
제주 섬이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는데요.

바닷속도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육지에서 흘러들어 간 생활쓰레기와
어선에서 버린 쓰레기까지 쌓여
해양 생태계가
심각하게 훼손되고 있습니다.

김항섭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제주도 정방폭포 인근의 바다입니다.

수심 10미터 아래로 내려가자, 바닥에
페트병 수십 개와 캔, 옷가지가 가득합니다.

폐그물과 낚시도구도
찢기고 엉켜 한데 뒤섞여 있습니다.

1미터 두께로 쌓인 오니를
쇠꼬챙이로 찌르니
시커멓게 썩은 부유물이 떠오릅니다.

환경단체들이 조사한 결과, 서귀포 앞바다에서
쓰레기와 오니로 오염된 면적만
2만 제곱미터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인근 방파제 때문에 물살이 느려지면서
쓰레기가 계속 쌓여 부패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INT▶ 김병일 / 00다이빙스쿨 대표
"온갖 쓰레기들이 생활쓰레기들이 계속 쌓여가
지고 보니까 모래 속에 1m까지 들어가서 박혀
있는데 그걸 꺼내 보니까 썩어서 새카맣더라고
요."

인근 범섬 앞바다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버려진 낚시도구가
산호와 해초를 휘감았고,
물고기도 걸려 죽어있습니다.

다이버 50명이 한 시간 동안 수거한
폐그물과 주낙만 500kg이 넘습니다.

(S/U) "육지에서 흘러들어온 각종 쓰레기들이
바닷속에 쌓이고 있지만
수거작업은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INT▶ 서귀포시 관계자(음성녹취)
"지금 (쓰레기가 있는) 상태에서 확인한 바로는
1~2년 사이에 그 쪽은 (수거활동을) 안 한 것으
로 알고 있습니다. 금액에 비해 수거비용이 높
은 것은 사실이고요."

이처럼 쌓인 쓰레기는
해양 생태계 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건강까지 위협하게 됩니다.

◀INT▶김정도 팀장/ 제주환경운동연합
"플라스틱 쓰레기 같은 경우는 이후에 미세 플라스틱으로 변하게 되고요. 그것을 해양생물이 먹게 되고 해양생물을 채취해서 사람이 먹게 되기 때문에..."

바닷 속 쓰레기 수거를
다이버들의 봉사에만 의존하면서
제주 바다는 지금도 썩어가고 있습니다.

MBC뉴스 김항섭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김항섭
김항섭 khsb11@jejumbc.com

취재부
연락처 064-740-2544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