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다른 지역과 달리 제주에서는
여객선을 탈 때
해경이 일일이 신분확인을 하는데요.
 무사증 지역이다보니,
무비자로 들어온 외국인들의
무단이탈을 막기 위함인데,
최근 해경이 
자신들 업무가 아니라며
승선 관리를 중단했습니다.
 이소현 기자입니다. 
           ◀END▶
           ◀VCR▶
 뱃길을 통해
다른 지방으로 나가려는 관광객들이
여객 터미널 개찰구 앞에 
줄지어 대기합니다.
 선사측이 나와
승선권을 일일이 확인하지만,
해경의 신분확인은 
이뤄지지 않습니다.
 해경이 지난 주말부터
갑자기 해당 업무를 중단했기 때문입니다.
 ◀SYN▶해경 관계자 (음성녹취)
"신분증을 이중삼중으로 확인하니 자꾸 지체돼 민원이 들어와 그러면은 (전국) 기준을 동일하게 하자."
 개찰구 앞에서 해경이 한 번,
배에 오르기 전 선사측이 한 번,
두 차례 이뤄지던 신분 확인이
한 번으로 줄어든 겁니다.
 문제는 
해경이 신분확인을 중단하면서,
무사증으로 들어온 외국인의 
무단이탈 우려가 커졌다는 겁니다.
◀SYN:변조/전화▶ 제주항 관계자
"신분증 확인을 안 하게 되면 개찰구를 다른 사람 표를 갖고 통과할 수 있고요. 외국인 같은 경우 한국 사람인 줄 알고 보내버리는 수가 있거든요."
 실제 2천13년 중국인 4명이 
신분증을 위조해 제주항 여객터미널을 통해
빠져나가려다 경찰에 붙잡히는 등
무단이탈 시도는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c.g) 제주국제자유도시특별법에는
2천2년 무사증제도 이후
비자 없이 들어온 외국인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출입국관리 공무원 또는 국가경찰이
체류 허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해경은 해운법에는
선사가 신분증을 확인하도록 돼 있다며
업무를 떠넘기고,
출입국관리사무소는 
본인들로만 전수검사를 할 수는 없다며
업무를 미루는 상황,
  "(s.u) 세월호 참사 이후
여객선 안전 관리가 강화됐는데요.
 하지만 현장에서는 관리 책임을 두고
관계 기관들이 서로 떠넘기기를 하며
혼선을 빚고 있습니다."
 mbc뉴스 이소현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부
연락처 064-740-25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