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MBC

검색

(리포트) IB교육과정 공교육에 적용 가능할까

김항섭 기자 입력 2019-05-03 08:10:26 수정 2019-05-03 08:10:26 조회수 0

◀ANC▶
제주도교육청이 오는 9월부터
논술과 토론 중심으로 수업을 진행하는
IB 한국어 교육과정을
도내 고등학교에 시범 도입할 예정인데요.

IB 교육과정을 적용하고 있는
영어교육도시 내 국제학교 수업현장을
김항섭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END▶

◀VCR▶
셰익스피어 4대 비극 가운데 하나인
맥베스에 대한 토론 수업이 한창입니다.

자유롭게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한 뒤
다른 학생들과 공유합니다.

작품에 표현된 윤리적 입장과 도덕적 가치 등
활발한 토론이 이뤄집니다.

◀INT▶서란 / 브랭섬홀 아시아 11학년
"항상 뭘 배울 때마다 정말 힘들긴 하지만 힘든 만큼 배우는 것이 많고 또 누군가를 이겨야 한다는 경쟁과 부담감에서 좀 벗어날 수 있어서..."

교사들의 만족도도 높습니다.

교사가 커리큘럼 자체를 직접 개발하는 대신,
별다른 행정 업무가 없어
학생 수업에만 집중할 수 있다는 평가입니다.

◀INT▶최화영 / 브랭섬홀 아시아 교사
"학교에 나와서 투자하는 대부분의 시간은 학생과 보내거나 스스로 수업연구를 하는 시간이고요. 사실은 다른 업무를 안 하다 보니까 학생들을 만날 시간도 좀 더 많고..."

제주도교육청은 오는 2학기
읍면지역 고등학교 한 곳을 지정해
한국어 IB 교육과정을 시범운영할 계획입니다.

하지만 교육청이
절대 평가로 운영되는 IB 교육과정에,
내신에 해당하는
내부 평가를 도입하겠다고 밝히면서,
평가의 객관성을
어떻게 담보할 것인가는 풀어야할 숙제입니다.

◀INT▶강순문 정책기획과장 / 제주도교육청
"내부 평가가 내신으로 반영될 수 있거든요. 내
부 평가를 통해서 내신 점수화로 변환을 시켜서
내신점수가 돼서 대학 진학에 활용할 겁니다."

한국어 IB 교육을 담당할
교사 양성도 문제입니다.

당장 2학기부터 시작할 예정이지만,
이달부터야 IB교육과정에 대한
교사 연수가 시작됩니다.

영어 과목 등 일부 교과목을
영어로 수업을 진행해야 한다는 점도
쉽지 않은 부분입니다.

(S/U) 논술과 토론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창의력과 사고력을 키우는
IB 교육과정이 공교육 과정에도
제대로 적용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이고 있습니다.

MBC뉴스 김항섭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김항섭
김항섭 khsb11@jejumbc.com

취재부
연락처 064-740-2544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