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MBC

검색

(리포트)범죄 예방한다더니…관리는 엉망

이소현 기자 입력 2019-05-20 08:10:20 수정 2019-05-20 08:10:20 조회수 0

◀ANC▶
범죄나 사고발생을 줄이는
환경 디자인을
'셉테드'라고 하는데요.

제주에도
5개 마을에 셉티드가 도입됐는데,
사후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서
취지를 무색케 하고 있습니다.

이소현 기자입니다.
◀END▶

◀VCR▶
사고나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셉테드를 도입한
제주시 삼도2동 방삿길.

비상 황 때 몸을 피할 수 있는
'지킴이집' 안내 표시를 따라 걸어봤습니다.

바닥에는 SOS라고 표시돼 있지만
정작 어느 집인지 안내판을 찾을 수 없습니다.

또 다른 지킴이집을 찾아봤습니다.

지킴이집이라고 표시돼 있지만
집주인은 내용을 알지 못합니다.

◀SYN▶ 지킴이집 / 제주시 삼도2동
"(지킴이집으로 돼 있던데) 나도 몰라요. 그전에 해 놓은 거라 몰라요. (따로 교육받거나 그런 거 없어요?) 네."

비상벨 위치 등을 알려주는
안심 지도는 이미 떨어진지 오래,

"(S.U) 위험한 상황에 누를 수 있도록
비상벨이 설치돼 있는데요.
한 번 눌러보겠습니다.

여보세요. 연결됐나요?"

가까운 지구대와 연결된
비상벨을 두 차례나 눌러봤지만,
아무런 응답이 없습니다.

셉테드가 도입된 일도동의 골목길에도
사정은 마찬가지,

비상벨 위치를 알려주는 표시가 있지만,
방향도 거리도 분명하지가 않습니다.

◀INT▶ 주민
"(안심 골목 들어본 거 있으세요?) 저는 처음 듣는데. (보시면 어디로 가야 비상벨 누를 수 있는지 아시겠어요?) 잘 몰라. 모르겠어요."

제주도는
2천14년부터 15억 원을 들여
도내 5개마을 총 6km 구간에
범죄예방환경설계, 셉테드를 도입해
운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점검 인력이 부족한데다,
정비 예산도 확보하기 쉽지 않아
사실상 사후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상황,

◀INT▶ 김성은 / 제주도 도시디자인담당관
"(연) 2회 이상 현장을 둘러보고 저희가 직접 하거나 사업이 책정되면 사업비를 통해 시스템화해서 유지관리할 예정입니다."

사고나 범죄를 예방하겠다는 셉테드가
관리 부실로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mbc뉴스 이소현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이소현
이소현 pine748@daum.net

취재부
연락처 064-740-2543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