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MBC

검색

(리포트)②미국 현지 NGO·정치권 설득 시작

김찬년 기자 입력 2019-06-28 20:10:00 수정 2019-06-28 20:10:00 조회수 0

◀ANC▶

제주 4·3에 대한

미국의 책임 규명 요구는

지난해 70주년 범국민위원회 출범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



미국은 아직 이렇다할

입장 표명이 없는 상황인데요.

현지에 있는 시민사회단체와 정치권을 향한

설득 작업이 시작됐습니다.



김찬년 기자입니다.

◀END▶



◀VCR▶

해방 이후

일제강점기 관리와 경찰관을

그대로 고용했던 미 군정.



도민 사회 내 불만이 확산돼

총파업과 단독선거 무산 사태로 이어지자,

군경에 초토화 작전을 지시해

민간인 수 만 명이 학살 당했습니다.



제주 4·3에서

미국의 책임을 묻는 이유입니다.



◀INT▶박찬식/

제주 4·3 제70주년 범국민위원회 운영위원장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이후에도 미국 군사고문단이 한국군 전체에 대한 작전지휘권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대량학살이 벌어지는 기간에도 미군이 사실상 지휘를 했다고 볼 수밖에 없는 것이죠."



미국 책임 규명 운동은

제주4·3 70주년 범국민위원회가 출범한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됐습니다.



서울 광화문 광장 등

전국에서 캠페인이 이어졌고,

학생과 직장인 등 10만 명이 참여한 서명지는

미 대사관에 공식 전달됐습니다.



◀SYN▶

서지혜/서울 마곡중학교(2018년 10월)

"4·3에서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긴 미국에 사과와 책임을 요구합니다. 4·3을 몰랐던 많은 학생들이 우리의 역사를 알고 4·3을 알고 서명에 동참했습니다."



하지만 미국은

아직 이렇다 할 입장 표명 조차 없는 상황.



도내 4·3단체들은

이번 유엔 심포지엄을 계기로

미국 현지의 시민사회단체와 종교계에

협력을 요청했고,

단체들도 적극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INT▶루벤 카란자

/전환기 정의를 위한 국제센터 선임간사

"미국 정부가 인식하지 못해 미국에서는 미완의 정의다. 그렇기 때문에 미국 정부를 압박할 수 있는 미국 활동가들의 역할이 중요하다."



(S/U)

"4·3단체들은 미국 정부를 압박하기 위해 이 곳 워싱턴 의회에서도 심포지엄을 개최할 계획인 가운데 현지에 있는 시민사회단체와 종교계 등의 협력을 어떻게 이끌어낼 지는 과제로 남았습니다."



워싱턴에서 MBC뉴스 김찬년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김찬년
김찬년 mbcjeju@gmail.com

취재부장
연락처 064-740-2521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