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네 그럼 이번에는 
제9호 태풍 '마이삭'의 특징을
자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김항섭 기자 나와 있습니다.
태풍은 보통 북상하면서 
세력이 조금씩 약해지는데,
제9호 태풍 마이삭은 강한 세력을 유지한 채
제주에 근접했습니다.
 이유가 무엇인가요?
(기자)
 네, 태풍 마이삭은 
필리핀 동쪽 해상에서 발생했는데요. 
 필리핀과 대만 인근 해상에는 
매우 뜨거운 고수온 해역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 구간의 수온이 30도를 넘어선 데다,
태풍이 28도가 넘는 동중국해의
고수온 해역을 통과하면서 
테풍의 세력은 점차 강해져
제주 부근까지 접근했습니다. 
 마이삭은 중심부근 최대풍속이 
150km 수준의 강한 세력을 유지하고 있고요,
제주를 지나 남해안 부근으로 북상할 때까지도 
비슷한 세력을 유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지난 제8호 태풍 바비와
이번 제9호 태풍 마이삭에 이어서
제10호 태풍까지 발생했는데요,
 6일과 4일 간격으로 태풍이 잇따라 발생해 
모두 한반도 쪽으로 방향을 틀고 있는데,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네, 제8호 태풍 바비부터
제9호 태풍 마이삭, 
제10호 태풍 하이선까지
북태평양에는 
3개의 태풍이 연달아 발생했습니다.
 북태평양 고기압 세력이 일본으로 후퇴하면서,
고기압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하는 태풍이 
한반도 쪽으로 올라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언제, 괌 북쪽 약 780km 해상에서 발생한 
제10호 태풍 하이선은
일단은 먼저 일본 규슈 지방에 상륙한 다음 
부산으로 향할 전망인데요. 
 태풍의 이동거리가 길어 
세력은 점차 강해질 전망인 데다,
아직 경로가 유동적이지만
경로가 서쪽으로 이동할 경우
제주도도 태풍의 영향권에
들 수도 있는 상황입니다. 
(앵커) 네, 이번 태풍에
10호 태풍까지 북상 소식에 
긴장을 놓을 수 없는 상황이네요,
지금까지 김항섭 기자였습니다. 
           ◀END▶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부
연락처 064-740-2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