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제주시가 도시공원을 만들겠다며
개발을 금지했던 숲에
아파트를 짓도록 허용하겠다는
민간특례개발사업이 추진되고 있는데요.
환경파괴와 특혜 논란 속에서도
환경영향평가를 통과하면서
사업이 추진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조인호 기자입니다.
◀END▶
◀VCR▶
제주시 오등동 일대에
호반건설이
아파트 천 400여 세대를 추진하고 있는
오등봉공원 부지입니다.
제주시 건입동 일대의
중부공원 부지에도
제일건설이
아파트 700여 세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건설업체들이
전체 부지의 20%에 아파트를 짓고
80%는 공원으로 만들어 기부하겠다는
민간특례개발사업입니다.
제주도 환경영향평가 심의위원회는
오등봉과 중부공원 개발사업의
환경보전계획을 놓고
5시간 동안 토론을 벌였습니다.
결국, 중부공원은
사업자가 제출한 계획을 인정해
원안 동의로 통과시켰습니다.
환경파괴 논란이 일었던 오등봉공원도
주변 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라는 조건부 동의로 통과시켰습니다.
허철구 / 제주도 환경영향평가심의위원장
◀INT▶
(오등봉 공원) 하천변을 중심으로 한 식생이 좋은 곳에 대한 보전방안들이 중요하게 다뤄졌고 곰솔림 이식을 한다고 하는데 이식계획이 비현실적인 부분을 바로잡는 (조건을 제시했다)
이에 따라, 민간특례개발사업은
도의회의 환경영향평가 동의와
제주시의 실시계획 인가만
남겨놓았습니다.
도시공원 지정기한인 20년이 끝나는
8월 11일까지 동의와 인가 절차를 끝내면
2천 25년 완공 목표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습니다.
공원의 일부를 포기해 난개발을 막고
주택난도 해결한다는 명분이지만
환경을 파괴하면서
건설업체에 특혜를 준다는 비판도 만만치 않아
도의회가 어떤 판단을 내릴지 주목됩니다.
mbc 뉴스 조인호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부
연락처 064-740-2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