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MBC

검색

간첩으로 몰린 교직원..50년 만에 재심 청구

조인호 기자 입력 2021-03-31 20:10:00 수정 2021-03-31 20:10:00 조회수 0

◀ANC▶

4.3의 비극이 낳은

이념의 멍에를 써야했던 제주에서는

군사정권이 북한의 위협을 핑계삼아

민주화 운동을 억누르기 위해

숱한 간첩사건들을 만들어냈었는데요.



간첩으로 몰려 억울한 옥살이를 했던

한 중학교 직원의 사연을

제주MBC가 보도한 뒤

지역 사회의 도움이 이어지면서

유족들이 50년 만에 재심을 청구했습니다.



조인호 기자입니다.



◀END▶

◀VCR▶



제주의 동쪽, 조그만 마을의 한 중학교



박정희 정권 시절인

1970년 이 평화롭던 학교가

느닷없이 간첩사건에 휘말렸습니다.



-----------------------



학교에 기부금을 보내준

재일동포 가운데

조총련계 인사가 끼어있었다는 이유로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체포됐던

당시 김녕중학교 서무과 직원인 고 한삼택 씨



재판에서 집행유예를 받고

반년 만에 풀려났지만,

학교에서 쫓겨난 뒤 홧병으로 세상을 떠났고

유족들은 연좌제와 트라우마에

시달려야 했습니다.



한혜정 / 간첩조작 피해자 고 한삼택 씨 딸

◀INT▶

"아버지가 돌아가셔도 아직까지도 (간첩조작

피해가) 눈에 안 보이게 작용하고 있다는 게

너무 끔찍한 일이지요. 제가 힘이 부족하지만

목숨 다 바쳐 아버지 명예회복 밖에 저는

바라는게 없습니다."



결국, 한삼택 씨의 유족들은

당시 경찰이 구속영장도 없이

한달 동안 불법구금하면서

고문으로 자백과 증거를 조작했다며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재심을 청구했습니다.



한 시민단체가

유족들과 함께 재심을 준비하면서

한씨의 억울함을 풀어주겠다고 나선

지역 주민들의 증언을 수집했습니다.



변상철 / '수상한 집' 사무국장 ◀INT▶

"(지역 주민들이) 이 사건 이후로 일본 교포

사회에서 제주도에 지원했던 것들이 위축돼고

그 뒤로는 많이 줄었다고 해서 굉장히 안타까워

하고 분노하고 있는 사건이었습니다."



제주도교육청도

잘못된 과거사를 바로잡겠다며

당시 교직원이었던 한삼택 씨와 관련해

남아있는 자료들을 증거로 제공했습니다.



이석문 / 제주도교육감 ◀INT▶

"교육계가 할 수 있는 일들은 책임지고 모든

협력을 해야 된다고 봅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과거의 아픔들을 조금씩 이겨내는 큰 힘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군사정권의 조작으로

터무니없는 누명을 썼던

평범한 시골 학교 직원이

지역 사회의 도움 속에

반 세기만의 명예회복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mbc 뉴스 조인호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조인호
조인호 hints@jejumbc.com

취재부
연락처 064-740-2544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