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MBC

검색

'정원 감축' 칼바람..지역 대학 긴장 '

홍수현 기자 입력 2021-06-04 07:20:00 수정 2021-06-04 07:20:00 조회수 0

◀ANC▶
학령인구가 계속 줄면서 최근 교육부가 대학 구조조정 계획을 발표했는데요.

학생 충원율이 낮은 대학은 정원을 감축하고, 교육 여건이 안 좋은 일부 대학에 대해서는 폐교 명령까지 내리겠다는 겁니다.

상대적으로 학생 충원이 어려운 지역 대학들의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MBC충북, 김영일 기자입니다.
◀END▶
◀VCR▶
학령인구 감소로 올해 전국 대학이 채우지 못한 신입생은 모두 4만 여명,

이 가운데 75%가 비수도권에 집중됐습니다.

충북 도내 대학들도 12.4%인 2,600여 명이 미달돼 지난해보다 무려 3배 넘게 증가했습니다.

◀INT▶
정상수/청주대 입학처장(지난 2월)
"입학 자원이 모자라는 건 다 공통적인 문제입니다. 일단 인서울에 먼저 가고, 그 다음에 이제 우리 학교에 많이 지원하게 되니까, 아무래도 서울권에 많이 뺏기죠."

결국 교육부가 칼을 빼들었습니다.

전국을 5개 권역으로 나눠 권역별로 신입생과 재학생 충원 기준을 세운 뒤 저조한 학교에 정원 감축을 요구한다는 겁니다.

◀INT▶
정종철/교육부 차관(지난달 20일)
"유지충원율은 지역 차이를 고려하여 권역별로 점검하며 그 결과에 따라 정원 감축을 차등 권고하고, 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일반 재정지원이 중단될 것입니다."

정원 감축 대상 학교는 권역별로 30%에서 최대 50%까지 포함될 전망입니다.

문제는 정원 감축이 수도권 대학보다는 지역 대학에 집중될 수밖에 없다는 점입니다.

◀SYN▶
교육부 관계자
"수도권은 사실상 (정원을) 다 채우고 있지만, 정원을 줄여야되는 상황인 겁니다. 비수도권 대비 수도권을 덜 줄인다는 우려는 사실. 지방은 사실 (정원을) 못 채우고 있기 때문에..."

특히 충북은 지역에서도 상대적으로 신입생 충원율이 높은 대전, 충남 대학들과 한 권역으로 묶이게 돼 더 치열한 경쟁이 예상됩니다.

더구나 제천, 괴산, 영동 등 학생 유치가 상대적으로 어려운 소규모 지역의 대학들은 더 불리할 수밖에 없습니다.

◀INT▶
지역 대학 관계자
"등록금을 14년째 동결을 시켰잖습니까. 재정이 없는 대학들이 어떻게 버텨요. 대출을 받거나 임금 체불되거나 이런 사태가 벌써 발생한다니까요. 대학들은 못 버팁니다. 지방대학들은 절대 버틸 수가 없어요."

여기에 학생 충원율이 낮거나 교육 여건이 안 좋을 경우 '한계대학'으로 지정되고, 폐교 절차까지 밟을 수 있어 상대적으로 재정이 열악한 지역 일부 대학들의 고민은 더욱 깊어지고 있습니다.
MBC뉴스 김영일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홍수현
홍수현 michael1116@jejumbc.com

취재부
연락처 064-740-2545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