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MBC

검색

역대 최대규모 지진, 원인은?

권혁태 기자 입력 2021-12-16 00:00:00 수정 2021-12-16 00:00:00 조회수 0

◀ANC▶
이번 지진은
제주에서 발생한 지진 가운데
가장 규모가 컸습니다.

그러나 규모에 비해 피해는 사실상 없었는데요,
이번 지진의 원인과 특징을 권혁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제주 전역을 물론 광주와 대전 등 우리나라 전체를 뒤흔든
이번 지진.

원인은 제주 서쪽에 분포한 단층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정확한 위치나 규모가 명확하게 드러나진 않았지만
그동안 발생 빈도를 보면 여러개의 단층이 겹쳐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c.g) 이번 지진의 진앙지 반경 50km에서는 지난 천978년 이후
모두 31차례의 지진이 발생했습니다. 대부분 규모 2.0에서 3.0 사이였지만
2천 년 이후에는 모두 규모 3.0 이상이었습니다. 통계상
점차적으로 지진의 규모가 커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c.g)

다만 이번 지진은 단층이 수평으로 움직인 이른바 '주향이동 단층'이어서
피해가 크지 않았던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c.g) 단층이 동서남북 어느 방향으로 움직였는지는 분석을 더 해봐야
알수 있지만 맞닿은 면이 수평으로 움직였던 것으로 파악된겁니다.(c.g)

◀INT▶(우남철 기상청 지진전문분석관)
\"같은 크기의 에너지가 발생하더라도 지표면까지 에너지를 전달하기에
좋은건 위로 쳐올리거나 아래로 떨어뜨리는 것.
하지만 이번에는 주향이동단층이라 옆으로 이동해 비교적 에너지 전달이 적었습니다.\"

2천17년 포항 지진 이후 가장 큰 규모의 지진이었지만
피해가 거의 없는 이유에는 제주섬의 지질학적 특징도
한몫을 한것으로 분석됩니다.

◀INT▶(이윤수 포스텍 환경공학부 교수)
\"제주도는 기반암이 화강암입니다. 이 화강암은 비교적 복원력이 뛰어난
단단한 암석이라서 지진에 잘 견디는 암석입니다. 불행 중 다행으로...\"

하지만 보다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는 전망도 나옵니다.

한라산은 기록상 약 천년 전 화산활동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학문적 관점에선 활화산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INT▶
\"지금까지 지하 마그마 움직임을 일으킬만한 지진은 없었습니다.
하지만 주변지진이 마그마 유동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이번 지진이 우리나라 지진 기록 가운데 역대 11위 규모였던 만큼
앞으로 제주지역에 많은 숙제를 남긴 것은 분명해보입니다.
mbc news 권혁태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권혁태
권혁태 frokp@jejumbc.com

취재부
연락처 064-740-2510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