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코로나 19 사태가 길어지면서
생계 위기에 몰린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위해
제주도의회가 대책을 마련하라고
제주도에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의회는 제주도와 지역 국회의원 등이 참여하는
긴급 연석회의를 제안했는데 성사될 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권혁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설 연휴가 십여 일 앞으로 다가왔지만
썰렁하기만 한 상가.
설 특수란 말은 코로나 19 사태가 터진 뒤
3년? 사라져버렸습니다.
(c.g) 실제 제주도가
한 신용카드 회사의 3년치 도내 사용액을
빅데이터 분석한 결과,
호텔이나 골프장은 오히려 수입이 늘었지만
소상공인 업종들은 최대 60%까지 매출이 감소했습니다.(c.g)
상황이 이런데도
제주도가 사실상 만생 경제 회복 대책에
손을 놓고 있다는 비판이 도의회에서 나왔습니다.
도와 의회 사이 상설협의체에서 1년 6개월 전 제안했던
공공배달앱 개발 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겁니다.
도의회는
소상공인과 지역 국회의원 등이 참여하는
긴급 민생재건 연석회의를 개최하자고 제안했습니다.
◀INT▶(강성민 위원장)
\"문자 그대로 생존의 벼량 끝에 내몰린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에게 필요한 실질적 지원을 담은
제주도 민생재건 종합대책을 마련할 것을 촉구한다.\"
실제 서울시는 최근,
수도요금 감면부터 월 100만 원의 임차 소상공인 지킴 자금,
예술인과 프리랜서 등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이들에게
50만 원의 긴급 생계비 등 8천억 원이 넘는
민생지킴 종합 대책을 내놨습니다.
◀INT▶(오세훈 서울시장)
\"정부지원의 틈새를 메우는데 방점을 뒀습니다.
서울시의회와 협의 끝에 확보한 총 8,576억 원을
투입하는 역대 최대 규모의 민생 대책입니다.\"
원희룡 지사 사퇴 이후
사실상 도정의 구심점이 사라진 상황 속에서
제주형 긴급 민생 대책이 서둘러 마련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집니다.
mbc news 권혁태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부
연락처 064-740-2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