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겨우내 이어지고 있는 가뭄에
강한 바람까지 더해지면서
요즘 산불 위험이 대단히 큰 상황입니다.
이런 위험에도 농사 시작을 앞두고
영농 부산물 태우기가 여전한데요
동력 파쇄기를 이용하면 태우지 않고
비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안동mbc 김건엽 기자입니다
◀END▶
과수원에서 가지치기를 한 뒤 남은 나뭇가지를
기계 안에 넣자 잘게 부서져 나옵니다.
깨를 털고 난 줄기나 고춧대도 처리할 수
있습니다.
동력 파쇄기가 보급되면서 태우지 않고
영농부산물을 손쉽게 처리하고
퇴비로도 활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
◀INT▶ 민해식/농민
\"장기적으로 퇴비가 될 수 있고
또 소각함으로써 생길 수 있는 여러 가지
위험 제거, 그런 게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농업부산물을 재활용하게 되면서
나뭇가지나 논·밭두렁을 태우다 일어나는
산불을 예방하는 효과도 함께 얻게 됐습니다.
[C/G]최근 10년간 산불 발생을 살펴보면
연평균 474건의 산불이 났는데
이 중 논·밭두렁을 태우다 일어난 산불이
1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INT▶ 박병홍 농촌진흥청장
\"시군 농업기술센터와 함께 일제 파쇄의
날을 운영하고 동력 파쇄기 임대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번 겨울 강수량은 예년의 1/3수준.
산 전체가 마른 장작처럼 건조해진 상태여서
산불 발생과 확산 위험이 어느때보다
높습니다.
다음 달 3월은 일 년 중 가장 건조하고,
통상 4월까지는 건조 상태가 이어지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농촌진흥청과 지자체는 영농철 소각을
줄이기 위해 동력 파쇄기 보급과
임대료 인하에 나서고 소각 금지 홍보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MBC뉴스 김건엽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부
연락처 064-740-2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