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제주 4.3 사건 진압 명령을
거부한 군인들이 일으켰던
여순 사건이 올해로 74주기를 맞았습니다.
당시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전남 여수와 순천의 무고한 민간인들까지
희생됐는데요.
오영훈 제주도지사도
여순 사건의 정의로운 해결에 제주 4.3이
동행하겠다는 추모 메시지를 발표했고
올해 처음으로 정부가 주최하는
합동 추념식이 열렸습니다.
여수mbc 문형철 기자입니다.
◀END▶
◀VCR▶
여순사건 74주기를 알리는 사이렌 소리로 시작된 합동 추념식.
단상 위에 하나, 둘 국화가 놓여지고,
참석자들은 고개를 숙여 희생자들을 추모합니다.
유족을 대표해 마이크 앞에 선 백발의 노인은
가족을 떠나보낸 70여 년 전 그날을 떠올리며
눈시울을 붉혔습니다.
◀SYN▶ 김명자 / 여순사건 유족
"아버지 목에 총탄 자국이...
차마 이럴 수는 없는 일 아닙니까?"
지난해까지 여순사건 추념식은
지자체가 주최했지만,
올해 초 특별법이 시행되고
진상규명을 위한 위원회가 공식적인 활동에 들어가면서
올해는 처음으로 정부 주최로 열렸습니다.
◀INT▶ *이규종 / 여순전국유족총연합 상임대표*
"추념식을 해준다는 것은 국가가 이 일을(여순사건을) 인정해준다. 더 나가아가서는 국가 기념일로 지정이 돼야겠죠."
이달 초, 희생자와 45명과
유족 214명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정부는
신속한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약속했습니다.
◀INT▶ *이상민 / 행정안전부 장관*
"합당한 보상이라든가, 희생을 추념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사업이라든가 기념행사, 이런 것들을 (추진하겠습니다.)"
하지만, 유족에 대한 지원과
억울함을 풀어줄 직권재심을 위한 법 개정 작업은
기약 없이 미뤄지고 있고,
일부 유족들은 당시의 트라우마에 시달려
피해 신고조차 꺼리고 있는 실정입니다.
◀INT▶ *서장수 / 여순사건 여수유족회장*
"개별 방문을 해서 말씀을 드리려고 합니다만,
너무 무서웠답니다. 연좌제나 이런 것들로 해서..."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피해지역 가운데 3곳에 대해
직권조사를 추진하기로 했지만,
조사 인력이 턱없이 부족해
결국 한 곳만 진행하게 됐습니다.
진상규명 위원 15명 가운데
상임위원이 한 명도 없다보니
전문성과 책임성도 부족할 수 밖에 없습니다.
◀INT▶ *주철희 / 여순사건 진상규명위원회 소위원장*
"5.18 진상규명위원회, 진실화해위원회처럼
직제가 확대되지 않고는 진상규명과 희생자 명예회복이 요원할 수 있다."
한편, 여순사건 진상규명위원회는
이르면 이달 말쯤 전체회의를 열어
2차 유족 및 피해자 결정을 위한 심사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MBC NEWS 문형철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부
연락처 064-740-2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