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국민의힘이 어제 저녁 윤리위원회를 열어
제주 4.3 사건에 대한 발언으로
논란을 빚었던 최고위원들에 대한
징계를 심의했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했습니다.
내일 저녁 다시 회의를 열어
징계수위를 결정하기로 했는데
4.3에 대한 정부와 여당의 입장을
가늠할 수 있는 시험대가 될 수 있어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조인호 기자입니다.
◀END▶
◀VCR▶
4.3은 김일성의 지시로 촉발됐다는
국민의힘 태영호 최고위원의 발언은
당 지도부를 뽑는 전당대회
제주 합동연설회에서 나왔습니다.
태영호 / 국민의힘 최고위원 ◀SYN▶
"4.3사건의 장본인인 김일성 정권에 한때
몸담았던 사람으로서 제주 4.3사건에서 희생된 유가족과 희생자들을 위해서 진심으로 무릎을 꿇고 용서를 빕니다."
4.3 단체들은 4.3에 북한이 개입했다는
색깔론을 부추기는 발언이라며 반발했지만
태영호 최고위원은 역사문제에 대한
소신이라며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습니다.
4.3은 격이 낮은 기념일이라는
김재원 최고위원의 발언은
윤석열 대통령의 4.3 추념식 불참을
옹호하는 방송 인터뷰에서 나왔습니다.
김재원 / 국민의힘 최고위원 ◀INT▶
"대통령이 보통 3.1절과 광복절 정도는 참석을 하거든요. 그리고, 4.3 기념일은 이보다 조금 격이 낮은 기념일 내지 추모일인데..."
4.3 단체는 물론 당내에서도
추모에도 격이 있냐는 비판이 쏟아지자
김재원 최고위원은 제주를 방문해
유족들의 마음을 헤아리지 못했다며
사과했습니다.
4.3 유족회는 두 사람이
국민 정서와 동떨어진 언행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해서는 안 된다는
윤리규칙을 위반했다며
국민의힘에 제소했습니다.
재발 방지를 위해 징계와 함께
당 차원의 공식 입장 표명도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김창범 / 제주 4.3 희생자 유족회장
◀INT▶
"낡아빠진 이념으로 계속 4.3에 대해 폄훼하고 왜곡하는데 이제는 종지부를 찍고 집권여당 국민의힘에서도 국민 화합 차원에서 정확한 입장 표명을 해주시기를 부탁드리겠습니다."
4.3 유족회는
태영호 최고위원에 대해서는
4.3에 관한 허위사실 유포를 금지하는
4.3 특별법을 위반했다며 고소하겠다는
입장이어서 징계가 마무리된 뒤에도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mbc 뉴스 조인호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부
연락처 064-740-2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