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오영훈 제주도지사의 핵심공약인
제주형 행정체제를 도입하기 위한 
연구용역을 중단해야 한다는 주장이
도의회에서 제기됐습니다.
 특히, 제주시 지역 더불어민주당 도의원들이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면서 
행정체제 개편에 변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조인호 기자입니다.
           ◀END▶
           ◀VCR▶
 제주형 행정체제 도입에 
제동을 걸고 나선 것은 
제주시가 지역구인 
더불어민주당 도의원들입니다.
 제주도의 연구용역 결과에는 
현행 행정체제에 무슨 문제가 있는지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근거가 없어 
정부를 설득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SYN▶ 한권 / 더불어민주당 도의원 
(제주시 일도1·이도1·건입동)      
 "주민 참여 약화, 민주성 약화 이런 것들이 이 보고서 어디에 나와있습니까? 인과관계가. 현재 제주의 문제가 도민들이 말하는 문제가
행정체제 때문이라는 분석결과가 없습니다."
◀SYN▶  한동수 / 더불어민주당 도의원 
(제주시 이도2동 을) 
 "이 자료 갖고 가면 현 체제 잘 되고 있네. 왜 바꾸려고 해. 이렇게 생각하죠. 국고보조금 우리가 전국 대비 낮은게 행안부 입장에서는 좋은 거지 않습니까? 우리 입장에서만 생각하시면 안 됩니다."   
 급기야 민주당 도의원들이 
연구용역 중단까지 요구하자 
제주도는 그럴 수는 없다며 맞섰고
◀SYN▶조상범 / 제주도 특별자치행정국장          
 "(제주특별자치도) 성과 평가를 중단하라고 하면 어떻게 합니까? 어느 누구도 사회과학에서 정량평가를 가지고 원인과 결과를 증명해내는 건 상당히 어려운 부분이 많이 있습니다." 
 오히려 서귀포시가 지역구인 
국민의힘 도의원이 제주도를 감싸줬습니다. 
◀SYN▶이정엽 / 국민의힘 도의원 (서귀포시 대륜동)         
 "주민에 의한 통치, 주민에 의한 정치가 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어쨌든 감사하다는 말씀과 함께 끝까지 고생해주십사하는...
 지난 2005년 
행정체제 개편 주민투표에서도
제주시에서는 시.군을 폐지하는 혁신안이 
서귀포시에서는 시.군을 유지하는 점진안이
우세했습니다. 
 18년 만에 다시 추진되는 
제주형 행정체제 도입에서도 
지역과 정당에 따라 입장이 엇갈리면서 
진통이 예상됩니다. 
   mbc 뉴스 조인호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부
연락처 064-740-2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