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MBC

검색

(리포트)방사능 검사는 확대...정보는 제각각

이따끔 기자 입력 2023-08-25 20:10:00 수정 2023-08-25 20:10:00 조회수 0

◀ANC▶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가 시작되면서

방사능 피해에 대한

도민들의 우려도 커지고 있는데요,



제주도는 방사능 검사와 안내를

확대한다고 했지만, 도민들이 정보를

쉽게 확인할수 없어 대책이 필요해보입니다.



이따끔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도내 한 마트의 수산물 코너.



일본산 수산물을 판매하지 않는다는

안내가 있지만 시민들은 불안합니다.



오염수 방류가 시작된 어제 하루

오래두고 먹을 수 있는

건어물과 냉동 수산물의 매출이

평소보다 2배 이상 늘었습니다.



◀INT▶이민경/제주시 노형동

"오염수가 우리 인체에 미치는 해로운 영향때문에 좀 말이 많잖아요 그래서...좀 망설여지죠."



방류가 시작된만큼

이제 정밀한 검사와 정확한 정보가

그 어느때보다 필요한 상황.



제주도는 검사를 확대하고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겠다는 대책을

지난 22일 내놨습니다.



◀SYN▶정채철/제주도 해양수산국장

"시내에 11개 대형 건축물에 있는 전광판,

그리고 1250개 버스정류소 전광판을 통해서 표출하고 있는데 앞으로는 전통시장 입구라든가(확대할 수 있도록)"



하지만 현실은 계획과 많이 달라보입니다.



유동인구가 많은

시내 버스 정류장을 확인해보니,

제주도가 말한 방사능 안전 신호등 상황은

10분 가까이 기다려야 나타납니다.



(S/U)

"그러나 이 안내판에는 지역별 안전 현황 정보가 잠시 나타났다 사라질 뿐이어서 시민들이 방사능 정보를 확인하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구체적인 도내 해역과 수산물에 대한

방사능 검사 결과도 포함돼있지 않습니다.



◀INT▶정예람/제주시 조천읍

"(방사능 안전 신호등에 대해 아세요?)들어본 적은 따로 없고, 핸드폰 같이 쉽게 볼 수 있는 사이트에서 그런 걸 확인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아요."



정보를 확인하려면 제주도청 홈페이지에서

서너 차례 클릭을 거쳐 제주도 해양수산연구원 홈페이지에 접속한 뒤, 파일을 내려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그마저도 일부 수협 위판장에서

검사한 결과만 확인할 수 있고,

도내 해역에 대한 검사 결과는 별도로

한달에 한번 올라오는 상황입니다.



반면 부산광역시는

수산물과 식품, 연안과 해수욕장의

방사능 검사 현황까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 지하철과 버스정류장 안내판에

부산 바다 13개소 지점의

방사능 분석 현황도 표출하고 있습니다.



◀INT▶이장희/부산광역시 원자력안전팀장(전화인터뷰)

"수산물 같은 경우는 생산 단계 유통 단계에서 몇 건을 분석을 했는데 몇 건이 적합한 지, 그 다음에 원산지 표시 단속은 몇 건이 단속됐고 이상이 없는지, 이런 구체적인 내용들이 전반적으로 포함되고 있습니다."



방사능 위험에 대한

도민들의 불안감이 높아지는 가운데

검사 결과를 시민들이 쉽게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해보입니다.

MBC 뉴스 이따끔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이따끔
이따끔 ouch@jejumbc.com

취재부
연락처 064-740-2543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