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내년 지방선거 도의원 선거구가 사실상 2천6년 지방선거와 똑같이 짜여졌습니다. 지난 2천 6년 임시로 만들어졌던 선거구를 그대로 유지한다는 점에서 선거구 획정위원회 운영이 부실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권혁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내년 지방선거에서는 교육의원 선거구만 바뀝니다. (c.g) 현재, 동지역 2곳과 옛 북제주군지역 1곳인 제주시 선거구는 제주시 중심 동지역 1곳과 동,서 2곳의 선거구로 바뀝니다. 서귀포 지역의 경우 옛 서귀포시와 남제주군이던 선거구가 서귀포 1호광장을 기준으로 동,서로 나뉩니다. 나머지 선거구는 지난 2천6년 지방선거 당시와 마찬가지로 29곳이 그대로 유지되며 비례대표도 7명 그대로 입니다.(c.g) 추자와 우도의 독립선거구 요구는 이번에도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INT▶(위원장) "헌법 재판소의 4:1 규정 때문에 독립 선거구를 운용하지 못한다." 그러나 10차례 회의에 천만 원이 넘는 예산을 쓴 선거구 획정위원회가 무성의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난 2천6년 조례안이 부결되는 바람에 중앙선관위 규칙에 따라 임시로 만들어진 선거구를 그대로 유지했기 때문입니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의원 수를 줄여야한다는 의견이 다수였고, 도의회 정책세미나에서도 줄이는 방안이 나왔었지만 반영되지 못했습니다. ◀INT▶(한영조) "자칫 선거구를 조정하면 지역간 갈등으로 사회적 비용이 소모되는 등 부작용이 더 심각하다고 판단했다." 제주자치도는 다음달 획정안을 입법예고한 뒤 도의회 심의를 거쳐 선거구를 최종 확정 짓습니다. mbc news 권혁태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부
연락처 064-740-2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