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MBC

검색

(리포트) 올레길이 범인?

권혁태 기자 입력 2012-07-25 00:00:00 수정 2012-07-25 00:00:00 조회수 0

◀ANC▶ 여성 관광객 피살사건과 관련해 올레길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성급한 대책들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책의 핵심은 우리 사회의 치안문제이지 올레길이 아니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권혁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사건이 발생한 올레길 입구. 지역 주민과 농민들도 이용하는 길이지만 출입을 통제한다는 간판이 세워졌습니다. 예전부터 제주에 있었고 지금도 수많은 관광객들이 이용하는 올레길. 사단법인 제주올레가 기존의 길을 이어 새로운 문화를 만들긴 했지만 이 길을 통제할 권한은 없습니다. 하지만 '폐쇄'나 '통제' 등의 자극적인 용어를 사용해 길 자체가 마치 범죄의 온상처럼 보이게 만들었다는 논란도 낳고 있습니다. ◀INT▶(제주생태관광) "올레길에만 너무 포커스가 맞춰지는 느낌이어서 우려되는 지점이 많습니다." 사건 이후 쟁점은 CCTV로 옮겨가고 있습니다. 이번 사건과 관련해 새누리당 홍지만 의원은 올레길을 비롯한 전국의 걷기 코스에 CCTV를 설치하는 법안을 제출했습니다. 제주도는 예비비를 투입해서라도 대책을 마련한다는 입장입니다. ◀INT▶오정숙 청정환경국장/ 제주도 "사각지대나 우범지대를 파악해서 CCTV를 비롯해 마을 순찰대 조직 등의 대책을 마련할 것." 그러나 CCTV가 모든 범죄해결의 답일까? 일단, CCTV의 범죄 예방효과에도 논란이 있는데다 모든 올레길에 설치하는 것도 불가능합니다. 치유와 사색의 길로 자리잡은 올레길에 적합한 안전 대책이냐는 의문도 있습니다. ◀INT▶(황정익 교수) "모든길에 CCTV를 깔고 경비원을 배치한다는 것은 올레길과 맞지 않다. 범죄의 사각지대 같은 곳에 공학적 접근으로 대책을 마련해야..." 있어서는 안될 비극이 올레길에서 벌어진 것은 맞습니다. 그러나 사건이 마치 올레길 때문에 벌어졌다는 마녀사냥식 여론몰이는 지나치다는 견해도 존재합니다. 사건이 발생하자 성급한 대책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 상황. 하지만, 대책의 중심은 올레길이 아니라 우리 사회의 치안 문제가 돼야하는 점은 분명해보입니다. MBC NEWS 권혁태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권혁태
권혁태 frokp@jejumbc.com

취재부
연락처 064-740-2510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