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전국적으로 전력수요가 폭주하면서 제주지역의 경우 대규모 정전, 즉 블랙 아웃의 위기에 항시 노출돼 있는데요. 정전사태를 막고 전력 자립을 이룰 방법은 없는지 권혁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END▶ ◀VCR▶ 쉴 새 없이 숫자가 바뀌는 전광판. 전력수요가 최고치에 이르는 낮 2시. 팽팽한 긴장감이 가득합니다. (s/u) 올 여름 유래없는 폭염이 이어지면서 전력거래소는 거의 매일 비상상황입니다. 최대전력수요를 어떻게 관리하는냐가 블랙아웃, 광역 정전을 막는 핵심입니다. 제주시내 한 초등학교에 설치된 최대전력 저감장치. 쓸 수 있는 최대 전력량을 미리 정해놓고 이를 넘기면 자동으로 전기가 차단됩니다. 전기료도 아끼고 효과적으로 최대 전력수요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 화면전환 -------- 보다 근본적인 방법은 남는 전기를 저장하는 것. (c.g) 제주지역 전력사용 그래프를 보면 새벽에 전기가 남습니다. 쉽게 껐다 켰다 할 수 없는 석유 발전기는 항상 최소 전력을 생산해야하고 해저 연계선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입니다.(c.g) 이에 따라, 30메가와트 규모의 에너지 저장장치를 설치하면 피크 시간대에 요긴하게 쓸 수 있습니다. 시설비가 300억 원 정도지만 경제성은 충분하다는 지적입니다. ◀INT▶(김영환 부장/전력거래소) "육지에서 싸게 생산된 전기를 충전했다가 발전 비용이 높은 시간에 팔게되면 비용면에서 경제성을 확보할수 있습니다." 제주가 주력하는 신재생에너지의 단점도 보완할 수 있습니다. ◀INT▶ 문승일 교수 / 서울대 "풍력같은 경우 바람이 불때와 안불때 생산량 왔다갔다한다. 이를 안정적으로 사용할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특히, 석유 발전기보다 가동이 쉬운 LNG 발전소를 설치하면 다른 지방 전력에 의존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최대전력 수요를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MBC NEWS 권혁태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부
연락처 064-740-2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