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소현 기자
입력 2015-05-14 00:00:00수정 2015-05-14 00:00:00조회수 0
◀ANC▶ 사면이 바다인 제주에는 어선이나 양식장에서 나온 해양 쓰레기들이 끊임없이 밀려와 제주도가 해마다 수십억원을 들여 수거하고 있는데요. 그런데, 행정기관의 관리 감독이 허술하다보니 수거업체들이 쓰레기를 돌려쓰는 수법으로 실적을 부풀려 거액을 챙겨온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소현 기자입니다. ◀VCR▶ ◀END▶ 제주시 지역에서 수거된 해양 쓰레기를 모아두는 야적장. 폐로프와 그물을 트럭에 옮겨 싣습니다. 근처에는 이미 쓰레기를 가득 실은 트럭도 대기 중입니다. ◀SYN▶ 경찰 "차 석대가 같이 출발 할 것 같다. 양이 많으니까 두 번 왔다 갔다 할 것이다." 그런데, 트럭들이 향한 곳은 폐기물 처리장이 아닌 서귀포시의 또 다른 야적장. 서귀포시 지역 정화업체 대표 김 모씨가 자신이 수거한 것처럼 속이려고 가져온 것입니다. 심지어 이미 폐기물 처리장으로 들어가 무게측정까지 끝난 쓰레기도 다시 가져와 재활용했습니다. ◀SYN▶ 00처리장 관계자 / 음성변조 "안 된다고 하는데 그걸 굳이 그렇게 해달라고 하고. 저희는 받을 돈이 많아서 안하면 돈도 안주고 하니까 돈 받기 위해 그걸 했는데 이제 와서 보니 (사기였다.)" 김씨는 지난해 이런 수법으로 수거실적을 70톤에서 330톤으로 부풀려 국고 사업비 1억 8천 만원을 타낸 뒤 30톤은 야산에 버렸습니다. (S/U) 특히, 김씨는 경찰 조사를 받는 도중에도 해양정화사업 공개경쟁 입찰에 참여해 낙찰을 받은 뒤, 미리 자신이 빼돌린 쓰레기로 다시 사용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INT▶ 김용온 계장 / 제주지방경찰청 수사2과 "계량증명서가 전산에서 조작이 가능한 점을 이용해서 쓰레기양을 부풀려 국고금을 편취한 겁니다." ◀SYN:음성변조/전화▶ 서귀포시 관계자 "(담당)계에 2명이 있다. 사실상 가서 계속적으로 저희가 확인을 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김씨를 비롯한 수거업자들은 서로 짜고 14억원대의 정화사업 입찰금액을 미리 정했고, 제주시에 가짜 노무비 증명서를 제출해 3억 2천만원을 챙겼습니다. 경찰은 해양쓰레기 수거업체 대표 58살 김 모씨를 사기 혐의로 구속하고 또 다른 업체 관계자 11명을 사기방조 혐의 등으로 입건했습니다. mbc뉴스 이소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