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소현 기자
입력 2015-07-24 00:00:00수정 2015-07-24 00:00:00조회수 0
◀ANC▶ 제주의 바람을 이용한 풍력발전단지가 늘고 있지만 대기업들이 이익을 독점한다는 논란이 일고 있는데요. 제주도가 풍력을 공공자원으로 만들겠다며 에너지공사가 주도하는 개발방식을 내놓았습니다. 이소현 기자입니다. ◀END▶ ◀VCR▶ 현재 제주도내 전력 생산량에서 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율은 13%. 2030년까지 전력의 100%를 신재생 에너지로 자급해 탄소 없는 섬으로 만든다는 게 제주도의 계획입니다. 논란이 일고 있는 풍력발전의 이익공유화 방안도 제시됐습니다. 육상풍력발전은 주민참여방식으로 인근 마을들이 함께 장소를 선정하며 무분별한 개발을 막기 위한 허가기준을 마련합니다. 해상 풍력은 제주에너지공사가 풍력발전지구를 선정하고 인, 허가 절차를 마친 뒤 민간기업과 함께 추진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제주 에너지공사가 주도하는 개발 방식에 대해서는 찬.반 의견이 엇갈렸습니다. ◀SYN▶ 이성구 사장 / 제주 에너지공사 "(풍력 발전) 이익 나는 것은 도민 전체 복지 증진이나 도민 손실 사업 등에 활용해 도민 삶의 향상에 기여한다." ◀SYN▶ 오세일 사장 /전력거래소 제주지사 "어느 순간 한 기관(제주 에너지공사)이 기득권이라고 생각하는 순간 전형적인 독점적인 폐해가 나타난다." 풍력발전기가 늘어날 경우 환경파괴가 우려된다는 지적도 잇따랐습니다. ◀SYN▶ 허창옥 의원 / 제주도의회 "이익 공유화 중에 환경 기금이나 곶자왈 보호 기금을 설치해야." ◀SYN▶ 오문식 이장 / 남원읍 의귀리 "세계 자연 경관인데 그런 상황에서 풍력 발전기가 경관을 굉장히 침해하지 않겠느냐." "(s/u) 제주도는 이번 토론회에서 나온 도민들의 의견을 반영해 다음 달 풍력관리계획을 최종 발표할 예정입니다. MBC뉴스 이소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