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혁태 기자
입력 2015-11-02 00:00:00수정 2015-11-02 00:00:00조회수 0
◀ANC▶ 최근 제주도의회가 추천한 제주도 감사위원이 보조금 비리에 연루된 것으로 드러나 사퇴하는 일이 있었는데요. 이 때문에, 여.야가 합의해 위원을 추천하고 자체심사도 했지만 잇따라 부적격 시비에 휘말려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권혁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지난달 말까지 구성될 예정이었던 제4기 감사위원회 위원 6명 가운데 1명이 선임되지 못해 아직까지 출범조차 못하고 있습니다. 당초 제주도의회가 추천한 사람은 김익수 전 제주관광대학교 부총장. 하지만 제주도는 김익수 전 부총장이 지난해 6월까지 제주관광공사 사외이사였던 점을 들어 위촉을 거부했습니다. (c.g) 조례에 감사의 대상이 되는 기관의 공무원이나 임원으로 퇴직한 후 2년이 지나지 않으면 결격사유에 해당한다고 명시되어있다는 겁니다.(c.g) 김 전 부총장은 제주도가 조례를 과잉해석했다며 이의 신청서를 제출했습니다. ◀INT▶(김익수 전 부총장) "비상근 임원을 제한한다는 것은 상위법에도 없는 것입니다. 이건 개인에 대한 너무 과도한 제한이라고 생각해서..." 도의회가 김 전 부총장 대신 두번째로 추천한 인물도 문제가 됐습니다. 보조금 비리에 연루된 전력이 뒤늦게 확인돼 제주도가 재추천을 요구한 것입니다. (c.g) 이때문에, 감사위원을 비공개로 추천하고 뚜렷한 검증절차도 없는 구조를 바꿔야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c.g) ◀INT▶(이선화 의원) "의회의 경우 운영위원회를 거친다던지 전체 의원 간담회를 통해 추천하는 방안이 필요하구요. 도의 경우도 정보를 좀더 투명하게 공개할 제도개선이 필요합니다." 도의회는 제3의 인물로 감사위원을 다시 추천하기로 했지만, 후보 검증을 소홀히했다는 비판은 피하기 어렵게 됐습니다. mbc news 권혁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