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반상회는 동네 주민들의 자율적인 협의체로 자리잡고 있습니다만, 제주자치도가 내일 도 전역에서 반상회를 열겠다고 나섰습니다. 주민자치시대에 70년대식 관제 반상회가 등장하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권혁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END▶ ◀VCR▶ 제주도청 대강당이 이른 시간부터 공무원들로 빼곡히 들어 찼습니다. 제주자치도가 느닷없이 도 전역에서 임시반상회를 열고 그곳에 공무원들을 보내겠다며 교육에 나섰기 때문입니다. 명분은 에너지 절약운동 동참을 호소하겠다는 것, 그러나 정작하고 싶은 얘기는 달라보입니다. 특별자치도 출범 2주년을 앞두고 그동안 성과를 홍보하고 영리의료법인 허용 등 3단계 제도 개선에 대한 논란을 잠재우라는 내용이 주를 이뤘기 때문입니다. ◀INT▶행정부지사 "주민들에게 근거없이 헐뜯는 사람들이 있다. 사실과 맞지 않다는 것을..." 예산 낭비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미 알려진 고유가 대책과 특별법 제도개선의 일방적 성과만을 담은 임시반상회보 6만5천여장을 만드는데 천만 원이 들어갔습니다. 공무원들의 수당과 출장비도 지급되야 합니다. 이에 대해 민주공무원노조 제주본부는 성명을 내고 주민 통제적인 임시반상회를 중단하라고 요구했습니다. ◀INT▶(전공노 부본부장) "주민들을 교화의 대상으로 보는 것 같은데 특자도의 조급한 성과주의를 과시하는..." (S/U) 홍보환경은 급격하게 변하는데 아직도 도민을 가르치려하고, 통제하려는 구시대의 소통방식을 고집하는 제주자치도의 홍보태도는 언제쯤 변할 것인지 되묻는 소리가 높습니다. mbc news 권혁태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부
연락처 064-740-2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