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국방부가 근현대사 교과서에 수록된 제주 4.3사건의 내용을 무장폭동으로 수정하도록 교육과학기술부에 요구해 파문이 일고 있습니다. 역사의 시계바늘을 거꾸로 되돌리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권혁태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VCR▶ (c.g) 국방부가 국정감사자료로 국회에 제출한 교과서 수정 요구안입니다. 제주 4.3을 '대규모 좌익세력의 반란 진압과정에서 주동세력의 선동에 속은 양민들도 다수 희생된 사건' 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c.g) 국방부는 이 요구안을 이미 지난 6월, 교육과학기술부에 제출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파문이 일자, 국방부는 급히 말을 바꿨습니다. 반란 대신, 무장 폭동으로 규정하고 이는 국방부의 일관된 입장이라는 겁니다. ◀INT▶(국방부 대변인) "군사편찬연구소에서 나온 한국전쟁사 책에서도 무장 폭동으로 되어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좌익 반란이라는 표현을 쓴 부분을 수정하도록. " 결국, 선동에 속은 양민들이 불가피하게 희생됐다는 주장엔 변함이 없다는 얘깁니다. 그러나 이같은 국방부의 요구는 정부 입장과 배치됩니다. 정부는 제주 4.3을 공권력에 의한 대규모 민간인 학살로 규정하고 대통령이 공식사과한 바 있습니다. 또, 이명박 대통령도 후보시절 같은 입장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INT▶(안규백 의원) "진상보고서를 바탕으로 노무현 대통령이 사과를 했다. 그걸 국방부가 뒤엎을 수는 없다." 보수주의 위주의 새 정부가 역사를 이념으로 재단하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됩니다. ◀INT▶(박찬식) "인권의 문제를 이념의 문제로 재단한다는 것 자체가 대단히 위험하다. 이념으로 4.3을 바라볼 수 없다." 화해와 상생이라는 4.3의 기본정신이 자리잡아야 할 다시 돌아온 무자년, 그러나 그 기본 정신이 뿌리부터 흔들리고 있습니다. mbc news 권혁태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부
연락처 064-740-2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