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제주의 한 관광기념품점에서
제주 특산품을 갑절 비싸게 팔아
바가지 요금 논란이 일고 있다는 보도
전해 해드렸는데요.
제주도가 작년부터
바가지요금을 해결하겠다며
관광 혁신 비대위까지 꾸렸는데,
정책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박주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지난달 관광객 김 모 씨가
제주에서 산 15만 원짜리 수산물 세트.
인터넷 쇼핑몰과 수산물 생산업체는
절반 가격인 7만 원대에 팔고 있었습니다.
김 씨는 제주도 관광불만신고센터에
신고를 했는데,
돌아온 반응은 더 황당했습니다.
업체가 보상해 줄 거라는 말만
반복한 것입니다.
◀ INT ▶
김OO/ 제주 특산물 구매 관광객 (음성변조)
"추후에 피해 보는 소비자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한다 그래야 제주도가 상인들을 위해서도 좋은 거고…금액으로 보상하려고만 했어요. 행정조치는 안 하고 할 수가 없대요."
비계 삼겹살과 바가지요금을 해결하겠다며
지난해 문을 연
제주도 관광불만신고센터.
정작 하는 일은
바가지요금 신고가 들어오면
해당 업체에 알려줘 환불 조치 등
중재를 하는 게 다입니다.
해당 업체에 행정 조치 등
어떤 불이익을 내릴 수도 없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최근 바가지요금 해소 방안으로
업종별 권장가격을 도입을 꺼내 들었습니다.
◀ SYNC ▶오영훈 제주도지사 (4월 9일, 제주도의회 도정질문)
"관광 관련 업종별 합리적 가격 수준을 안내하는 제주 관광 권장가격 가이드라인을 도입하겠습니다. 관광 불편 신고센터를 활용한 가격 불만 신고체계 구축이 빠른 시일 내에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하지만 관광업계에서조차
정책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업체마다 재료와 서비스가 천차만별인데
일괄적으로 권장가격을 제시할 경우
싼 재료를 써
서비스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 SYNC ▶ 음식업계 관계자 (음성변조)
"딱 가격을 정해가지고 얼마 받으라 그러면
채소도 싼 거 살 수밖에 없고, (고기도) 제주산을 쓰고 있는데 외국산 제품이 차이가 나니깐 그런 거 쓸 수도 있고요. 서비스가 안 좋아지는 걸로 그렇게 갈 수밖에 없어요 "
특히, 권장가격을 지키지 않아도
제재할 방법이 없어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 INT ▶ 좌광일 / 제주주민자치연대 대표
"업종별 권장가격이 말 그대로 권장가격이기 때문에 안 지키면 그만이거든요. 그래서 고물가라든지 바가지요금 논란을 해소하는 데는 분명히 한계가 있다고 보이고요."
올 들어 제주를 찾은 내국인 관광객은
300만 명으로
지난해보다 14% 줄었습니다.
비계삼겹살 논란과
내국인 관광객 감소로
오영훈 제주도지사가 공동위원장으로 하는
제주관광 혁신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린지
1년이 다 돼 가지만,
뾰족한 대책도 제시하지 못한 채
바가지요금 논란만 반복하고 있습니다.
MBC 뉴스 박주연입니다.
◀ END ▶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