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최근 소나무 재선충병이 급속히 확산되면서, 고사목을 제거하는 작업이 대대적으로 이뤄지고 있는데요, 하지만 인력과 장비가 부족해 방제작업이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홍수현 기자입니다. ◀END▶ ◀VCR▶ 요란한 전기톱 소리와 함께 말라죽은 소나무가 쓰러집니다. 커다란 줄기를 잘게 자르고, 벌목공들은 잠시 쉴 틈도 없이 전기톱에 연료를 보충한 뒤 다음 나무 베기에 나섭니다. ◀INT▶천병기/벌목공 "인력도 부족하고 작업 여건도 안 좋고요, 과수원 같은 곳은 협조도 어렵고..." 도내 벌목공 100여 명과 경찰인력이 동원돼 하루 평균 제거하는 고사목은 천 그루 정도. 재선충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가 활동을 시작하는 내년 4월까지 20만 그루로 추정되는 고사목을 모두 베어내기엔 역부족입니다. ◀INT▶ 김성근 / 제주지방경찰청장 "통나무를 들어내고 하는 것을 전부 손으로 작업하고 있는데, 장기간 작업하기 위해선 장비가 들어와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 (s/u) "베어낸 소나무는 이처럼 파쇄기를 이용해 잘게 부수고 있는데요, 하지만 파쇄기가 감귤나무 간벌에 사용되는 것이다보니 큰 줄기는 파쇄하지 못하고 잔 가지들만 처리하고 있습니다." 파쇄하지 못한 굵은 통나무들은 현장에서 태울 수 밖에 없는 상태. 더딘 작업 속도에 호남지역 벌목공 120여 명이 긴급 지원됐습니다. ◀INT▶ 김창조 / 소나무재선충병방재전담본부 "타지역 산림조합에서 전문적으로 벌목하는 분들을 차출해서 지원받고 있습니다." 제주도는 산림청 예산 100억 원과 예비비 50억 원 그리고 장비를 추가 투입해 지역별 전략을 세워 내년 4월까지 방재작업을 마무리한다는 계획입니다. mbc news 홍수현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부
연락처 064-740-2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