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별 뉴스보기
-
제2회 제주시체육회장배 유소년야구대회 열려
제2회 제주시체육회장배 유소년야구대회가 오늘 개막해 제주시 동복리체육센터 등에서 사흘 동안 열립니다. 이번 대회에는 제주시 야구학교와 서귀포시 리틀야구단 등 도내 팀과 광주SB유소년야구단 등 다른 지역 유소년팀도 참가합니다. 전국에서 모인 24개 팀은 조별 예선을 거쳐 리그별로 최강 유소년야구단을 선발합니...
김찬년 2025년 10월 17일 -
국회서 '4·3 진실에 관한 기록들' 특별전
제주4.3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기념하는 특별전이 국회에서 열렸습니다. 이번 특별전은 기록과 예술로 밝혀낸 진실을 주제로 4.3의 발단부터 진상규명을 위한 시민사회의 노력, 제도화하기 위한 국회와 정부의 과정을 사진과 패널로 구성해 선보였습니다. 또,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형무소에서 온 엽서...
김찬년 2025년 10월 15일 -
특집 다큐 '현기영, 기억의 섬에서' 방송
작가 현기영의 작품과 생애를 조명한 다큐멘터리 '현개영, 기억의 섬에서'가 오늘밤(2일) 9시 제주MBC에서 방송됩니다. 손세호 감독이 촬영, 김훈범 PD가 연출을 맡은 이번 다큐멘터리는 평생 4.3의 진실을 알리는 데 헌신해 온 85살 작가의 기억과 소회를 담아냈습니다. 현기영은 군부독재 시설 금시기되었던 제주4.3을 소...
김찬년 2025년 10월 02일 -
"근무시간 음주 노래방 소란은 파면이 마땅"
제주법원 부장판사들의 음주 소란 물의가 중앙 정치권에서도 도마에 올랐습니다. 김병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은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일반 공무원이 근무 시간 중 음주도 부족해 노래방 가무까지 즐겼다면 파면되는 것이 국민적인 상식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법원은 솜방망이만도 못한 경고로 제식구 감싸기 처벌을...
김찬년 2025년 10월 02일 -
교육청, 사이버 공격 대비 훈련 실시
제주도교육청이 사이버 공격에 대비한 훈련을 실시합니다. 제주도교육청은 모레(2일)까지 교육행정정보시스템 나이스와 업무관리시스템인 케이에듀파인 등 주요 교육정보시스템을 대상으로 사이버 공격 대비 훈련을 진행합니다. 이번 훈련을 통해 다양한 사이버 공격에 대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 모의 해킹 훈련을 실시해...
김찬년 2025년 10월 01일 -
"제주의 대중국 협력 새로운 단계 도약 기원"
중국 창립 76주년을 기념하는 행사가 제주에서도 열렸습니다. 경축 행사에는ㅁ오영훈 제주도지사와 이상봉 도의회 의장 등 주요 기관장 등이 참석했습니다. 진건군 중국제주총영사는 제주가 대중국 교류 협력의 선두에 서며 풍성한 성과를 거뒀고, 제주를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이 100만 명을 넘어섰다며 제주의 대중국 협력...
김찬년 2025년 09월 26일 -
감사원 지방공항 적자는 수요예측 과다 산정
항공 수요예측치가 과다 산정돼 여객수요 예측결과를 신뢰하기 어렵다는 감사원 감사 결과가 나오면서 제2공항 건설사업에도 영향을 줄지 주목됩니다. 감사원은 지방공항 건설사업 추진실태 감사보고서를 통해 지방공원의 운영적자는 실제 공항 이용객 수가 수요예측치에 미치지 못한 점을 가장 큰 원인으로 꼽았습니다. 특...
김찬년 2025년 09월 26일 -
민주당-제주도 내일 제주서 예산정책협의회
더불어민주당 지도부와 제주도가 내년 예산 협의에 나섭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와 최고위원 등 10여 명은 내일(17일) 제주를 찾아 예산정책협의회에 참여합니다. 제주도는 이번 협의회에서 반영되지 못하거나 일부 반영된 국비 사업을 건의 할 예정이며, 행정체제 개편 추진에 대한 협조 등도 논의 할 예정입니다. ...
김찬년 2025년 09월 16일 -
"교육의원 사라져도 도의원 정수 42~48명 적정"
내년부터 교육의원 5명이 사라지는 가운데 도의회 의원 정수가 42명에서 48명이 적정하다는 중간 용역 결과가 나왔습니다. 용역진은 교육의원 제도가 폐지돼 도의원이 45명에서 교육의원 수인 5명이 줄지만 특수성과 특별자치권 등을 고려하면 최소 42명에서 최대 48명이 적정하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용역은 오는 12월까지...
김찬년 2025년 09월 14일 -
행사·축제에 일회용품 사용 전면 금지 추진
제주에서 열리는 모든 행사와 축제에 일회용품 사용을 금지하는 친환경 축제 운영 지침이 수립됐습니다. 새 지침은 3단계로 구성돼 계획 수립 단계부터 다회용기 사용이 가능한 음식과 참여 단체를 우선 선정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 축제 중에는 다회용기 공급과 회수함을 운영하고, 축제 후에는 폐기물 발생량과 참가 ...
김찬년 2025년 09월 1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