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행정체제개편이 유보된 원인을 놓고 도의회와 제주도 사이에 날선 공방이 오갔습니다. 도지사 임기말에 졸속 추진이 화근이었다는 도의회의 공세에 맞서 제주도는 의회가 부대조건을 제시한 탓이라며 서로 책임을 떠넘겼습니다. 홍수현 기자입니다. ◀END▶ ◀VCR▶ 제주도 행정체제개편을 위한 도민여론조사는 행정사무감사에서 다시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도의원들은 조사방식에 문제가 있음에도 제주도가 인정하지 않고 있다며 따졌습니다. ◀SYN▶ "(85.9%가 시장 선출직에 찬성한다고 했습니다.) 그럼 모른다, 무응답은 포함 안합니까? 그런 조사가 어딨습니까? 도의원들은 지난해 행정체제개편위원회 1년 연장 조건으로 행정시 기능 강화를 주문했지만, 제주도가 곧바로 시장직선제 추진에 나서 문제가 됐다고 지적했습니다. ◀SYN▶ 허진영 / 도의원 새누리당 "행정시 강화를 먼저 하라고 했잖아요, 근데 왜 그건 안 하고..." 그러나 제주도는 당시 의회에서도 시장직선제 추진과 관련한 발언이 있었다면서 맞섰습니다. ◀SYN▶ 오홍식 / 제주도기획관리실장 "(당시 의회에서)지사께서 공약사항인 확실한 의제가 있다면 부대조건에 구애받지 않고 추진할 수 있지 않느냐.." ◀SYN▶ 김용범 / 행정자치위원장 ""잠깐만요, 그것을 갖고 마치 의회가 제동을 걸었다고 해서 (제주도가)손을 놓고 있었어요, 그 당시에. 무슨 말씀하세요 지금 와 가지고." 도의원들은 우근민 지사가 취임 초부터 행정시 기능 강화를 추진하지 않아 이렇게 됐다면서, 진정한 기능 강화 방안을 마련하라고 촉구했습니다. ◀SYN▶ 고충홍 / 도의원 새누리당 "지금쯤은 어떤 성과가 나왔어야, 그래도 안 되면 직선제도 할 수 있는 거다." 계속된 질타에 제주도는 행정시 권한 강화를 위해선 인사보다 예산권이 중요하다며 내년 예산 편성은 행정시에 모든 권한을 주겠다고 밝혔습니다. mbc news 홍수현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취재부
연락처 064-740-2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