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소현 기자
입력 2014-03-21 00:00:00수정 2014-03-21 00:00:00조회수 0
◀ANC▶ 농업기술원 소속 공무원의 국가 보조금 사기 피해액이 자그마치 16억 원에 이르고 있습니다. 그런데, 농업기술원이 지난해 말 사기 행각을 눈치채고도 자체조사나 고발 등의 조치를 취하지 않아 피해를 키웠다는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이소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END▶ ◀VCR▶ 키위 농사를 지으려고 비닐하우스를 만든 김 모씨는 요즘 분통이 터집니다. 공사비용의 70%를 국비로 지원받을 수 있다는 공무원의 거짓말에 속아 4천만 원이 넘는 돈을 뜯겼기 때문입니다. "(S/U) 시설하우스를 짓는데 든 비용은 자부담을 포함해 모두 2억 원에 이릅니다. 그러나 보조금 사업이 사기로 드러나면서 공사대금까지 피해 농민이 모두 떠안아야 하는 상황입니다." ◀INT:음성변조▶ 피해 농민 "다 담보 잡혀서 뭣도 없는데 어디가서 돈 빌립니까. 소송 들어오면 공사 대금 주는 건 맞는데 돈을 마련할 방법이 없습니다." 김씨뿐만 아니라 이 같은 피해를 입은 농민은 44명, 피해액은 16억원에 이릅니다. 문제는 이같은 피해를 사전에 막을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 자부담금이 계좌에서 한꺼번에 빠져나가자 이를 수상히 여긴 농협과 농민들이 농업기술원에 확인을 요구했습니다. 하지만, 농업기술원은 개인적인 빚이라는 허씨의 말만 믿고 오히려 농민들을 달랬습니다. ◀SYN:음성변조▶ 농업기술원 관계자 (작년 12월, 피해농민 녹취) "(허 씨) 집안이 탄탄하니까 부모에게 얘기해 책임져서 목요일까지 해주겠다고 했으니 기다려 달라." 결국, 경찰이 수사에 착수한 이달 초까지 허 씨의 사기행각은 이어졌고, 그 동안 추가 피해액만 10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허씨의 비리를 파악하고서도 농업기술원이 이를 묵인하거나 은폐한 건 아닌 지, 철저한 수사가 필요해 보입니다. MBC뉴스 이소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