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현 기자
입력 2015-05-17 00:00:00수정 2015-05-17 00:00:00조회수 0
◀ANC▶ 음식을 판매하는 자동차, 푸드트럭을 정부가 합법화한 지 9개월이 지났습니다. 하지만, 창업절차가 여전히 까다로운데다 기존 상인들의 반발에도 부딪쳐 아직도 문을 연 곳이 거의 없다고 합니다. 홍수현 기자입니다. ◀END▶ ◀VCR▶ 제주도내 푸드트럭 1호로 허가를 받은 김동곤 씨. 2천여만 원을 들여 차량구조를 변경하고 영업을 준비하며 새 사업에 기대를 걸었지만 개업 예정일이 지나도 문을 열지 못하고 있습니다. 영업 허가를 받은 천제연폭포 주차장 내 위치 선정을 놓고, 관리소와 의견 차를 좁히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INT▶김동곤 / 푸드트럭 영업허가자 "이 장소에서 하고 싶은데 사람들 많이 지나가는데서, 근데 기존에 있는 상가분들이나 여기 직원분들은 좀 다른 사람들보기 불편하지 않겠느냐..." 중문해수욕장 주차장에서 영업 허가를 받은 지관종 씨도 행정절차를 몰라 애를 먹다 겨우 장사를 시작했습니다. ◀INT▶지관종 / 푸드트럭 영업허가자 "딱 이렇게 해라 매뉴얼만 있었으면 따라가면 되는데 처음 시행하다보니까 행정기관에서도 애로사항이 많았고 저 같은 입장에서도 애로사항이 많았고..." 지금까지 도내에서 허가를 받은 푸드트럭은 서귀포시 중문관광단지에 단 2대, 제주시는 아직 영업을 허용할 구역 조차 정하지 못했습니다. 관광지와 유원시설, 공원 등에 영업을 허가할 수 있지만 기존 상인들의 반발이 워낙 크다보니 눈치만 보고 있는 겁니다. ◀INT▶제주시 관계자 "제주도 같은 경우는 공원 입구에 휴게음식점이라든지 기존 음식점들이 있어요, 그런 부분 때문에 기존 상권과 마찰 우려도 있고 해서 충분히 검토해야 하기 때문에.." 규제를 없애 불법 노점을 양성화하겠다던 푸드트럭 합법화 정책이 현실에서는 여전히 제자리 걸음하고 있습니다. mbc news 홍수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