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읍면지역에서 새벽에 첫 버스를 운행해야 하는
버스 기사들은 운행장소 부근에서
전날 정박을 하는데요.
제주도가 모든 버스에
정박비를 지원하고 있지만
실제 정박을 하는 버스는 10%에 그치면서
혈세가 줄줄새고 있습니다.
박주연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END▶
◀VCR▶
서귀포 외곽지에 있는
한 버스 업체의 숙소에서
버스 기사들이 휴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다음날 새벽 첫차 운행지가
회사 차고지와 멀기 때문에
전날 미리 와서 하루 묵는 것입니다.
버스준공영제 시행으로
버스기사의 정박을 위한 숙소 임대료 등으로
버스 한대당 하루 9천원을
'정박비' 명목으로
제주도가 버스회사에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버스회사 7곳에 지급되는
정박비만 한해 15억 여 원.
◀INT▶ 00 여객 버스 기사
"기사한테 떨어지는 것은 6천 원인 걸로 알고 있습니다. 못받는 사람들도 있다고 그러고요. 정박비가 도대체 정당하게 쓰여지는지를
모르겠습니다."
(CG) 그런데, 취재 결과
실제 정박을 하는 버스는 93대로,
정박비를 지원하는 전체 버스 728대의
12%에 불과합니다.
심지어 동서 교통의 경우,
정박을 하는 버스는 단 한대도 없었습니다.(CG)
이렇게 실제 정박을 안해도
제주도가 지난해 지원한 정박비는
13억 6천만 원.
제주도가
실제 정박을 하는지 확인도 없이
버스 한대당 9천원의 정해진 금액으로
매일 모든 버스에 지원하기 때문입니다.
◀INT▶ 박원철 도의원(더불어민주당, 한림읍)
"실질적으로 정박을 하고 있는 차량들이 몇대인가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거기에 맞는 비용이 필요하다면 비용을 지원하고 지금처럼 대당 얼마 이렇게 해놓아서 몇십억의 혈세가 낭비되는 일은 없도록 해야죠."
더 큰 문제는 이런 실태가 확인됐는데도
낭비된 정박비를 돌려받지 못한다는 겁니다.
실제 정박 여부와 관계없이
버스 대수를 기준으로 정박비를 지급하기로
제주도와 버스회사가
표준운송원가를 협약했기 때문입니다.
(S/U) "제주도가
실제로 정박하지도 않는 버스까지
도민의 세금으로 지원하면서
준공영제 이후
버스 사업주의 배만 불리고 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됐습니다.
MBC 뉴스 박주연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