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MBC

검색

이슈추적

영어교육도시 2단계 부지에 멸종위기식물

조인호 기자 입력 2020-06-22 20:10:00 수정 2020-06-22 20:10:00 조회수 1

◀ANC▶

최근 JDC가 영어교육도시에

대학과 주거시설을 짓는 2단계 개발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는데요.



그런데, 이 2단계 사업 부지 안에

제주의 곶자왈에만 사는

멸종위기 식물들이 서식하고 있는 것을

MBC 취재진이 처음으로 확인했습니다.



조인호 기자입니다.



◀END▶

◀VCR▶



지난 2천8년부터

국제자유도시에 걸맞는 교육환경을 만든다며

조성되고 있는 영어교육도시,



JDC는 국제학교 4군데가 들어선

1단계 사업 부지 인근의 숲에

2단계 개발사업을

내년부터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C/G) 89만 제곱미터 부지에

외국 대학과 주거시설, 상업시설 등을

지어 영어교육도시를 완성하겠다는 계획입니다.



2단계 사업부지가 어떤 곳인지

가봤습니다.



울창한 난대림이 자라고 있는

전형적인 곶자왈 지대입니다.



숲 속을 헤치고 들어가자

높이가 20미터, 둘레가 3미터가 넘는

커다란 나무들이 나타납니다.



대만과 일본 남부,

우리나라에서는 제주의 곶자왈에만 서식해

환경부가 멸종위기 야생식물로 지정한

개가시나무입니다.



김정순 / 곶자왈사람들 대표 ◀SYN▶

"북방한계, 남방한계식물이 공존하는게 곶자왈이쟎아요. 그중에 따뜻한 난대성의 식물인거죠."



(S/U) "숲 속에서는 이처럼

어린 개가시나무들이 자라고 있는 모습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곶자왈 속에 난대림들이

지금도 성장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입니다."



향기가 천리를 간다는 꽃을 피우는

산림청 지정 멸종위기식물인

백서향도 눈에 띕니다.



모두 2천8년 환경영향평가 통과 당시에는

언급되지 않았던 희귀식물들입니다.



김정순 / 곶자왈사람들 대표 ◀INT▶

"중요한 종이 이 곶자왈 안에 서식하고 있다는 것은 이 곶자왈의 가치를 증명해주는 것이고요. 이 곶자왈이 사라진다고 하면 그러한 가치 또한 사라지게 되는..."



(C/G) 영어교육도시가 들어선

제주 남서부 지역은

제주에서 가장 큰 곶자왈 지대여서

1단계 개발 당시부터

환경 파괴 논란이 일었습니다.



곶자왈이 반토막난지

10여 년 만에 2단계 개발까지 추진되면서

마지막 남은 멸종위기 식물 서식지마저

사라질 위기에 처했습니다.



MBC 뉴스 조인호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조인호
조인호 hints@jejumbc.com

취재부
연락처 064-740-2544

추천뉴스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