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MBC

검색

3차 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 동의안 심사 보류

송원일 기자 입력 2021-11-02 00:00:00 수정 2021-11-02 00:00:00 조회수 0

◀ANC▶



내년부터 10년 동안

제주 개발의 가이드라인이 될

제3차 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을

어떻게 만들지를 놓고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도의회가 막대한 재원 조달계획과

환경보전대책이 미흡하다며

제동을 걸었습니다.



송원일 기자입니다.



◀END▶

◀VCR▶



제3차 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의

18개 핵심사업을 추진하는데 필요한 예산은

16조 원.



(CG) 이 가운데, 민간자본이 49%나 차지해

실제 투자로 이어질지는 불투명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CG) 1차 종합계획 때는

당초 계획에 비해 67%만 투자됐고,

2차 종합계획 때는

불과 3%만 투자됐습니다.



도의원들은

재원 조달 계획이

달랑 한 페이지 뿐이라며

구체적이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SYN▶강철남 더불어민주당 도의원

\"16조 25억 원에 계획이 돼 있는데, 이게 과연

투자 재원 조달이 가능한지, 상당히 고민스럽고

걱정이 됩니다.\"



제주의 청정 환경을 보전할

세부 대책이 미흡하다는 비판도 제기됐습니다.



◀SYN▶고현수 더불어민주당 도의원

\"(환경보전을 위한) 핵심 제어방식이 뭔지에

대한 말이 없습니다. 그냥 추상적이에요.

세계적인 자연환경 보전 및 오염방지 대책을

수립해야 된다. 이걸로 끝. 이게

저감대책이라고 생각하시나요.\"



핵심사업이 특정지역에 집중된 것을 놓고도

논란이 일었습니다.



◀SYN▶강민숙 더불어민주당 도의원

\"제주도 전체가 균형적인 발전과 미래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것들이 (종합계획) 용역에서

나와야 되거든요. (그런데 핵심사업들이)

한 곳으로 몰려 있는 현상입니다.\"



◀SYN▶허법률 제주도 기획조정실장

\"기존 19개 핵심사업을 재평가해서 균형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방안이 있는지 한번

검토해보겠습니다.\"



결국, 도의회는

심도 있는 추가 논의가 필요하다며

동의안의 심사를 보류시켰습니다.



제주도는 올해 안에

계획을 확정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일부 의원들은 내년 지방선거 이후로

미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어

연내 통과가 가능할지 주목됩니다.



MBC뉴스 송원일입니다.

Copyright © Jeju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송원일
송원일 wis@jejumbc.com

보도국장
연락처 064-740-2545

여러분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해 주세요.

0/300